계묘(癸卯) - 봄비 맞은 화초 / 흑토끼

계묘(癸卯)는 천간에 계수(癸水), 지지에 묘목(卯木)을 두고 있다. 계수는 봄비를 뜻하고 봄비를 맞으며 자라나는 나무의 모습이다. 계수(癸水)와 묘목(卯木)의 결합으로 섬세한 직관력과 안정적인 성장력이 특징인 일주입니다. 물상으로는 봄비가 오는 정원에 있는 흑토끼이다.


계묘(癸卯) - 봄비 맞은 화초 / 흑토끼

계묘(癸卯) 묘목(卯木) 수생목으로 변화를 즐기고 개성이 넘치며 상상력이 풍부합니다. 항상 호기심이 넘치고 의리도 있습니다. 말도 잘하는 재주가 있고 실제로 똑똑한 사람들이 많은 일주가 계묘(癸卯)입니다. 재주도 뛰어나기에 어디서든 존재감을 과시하면서 미남미녀가 많은 것이 특징입니다.

계묘(癸卯) - 봄비 맞은 화초 - 흑토끼

계묘(癸卯)일주의 지장간은 갑(甲)과 을(乙)로 식상이 있어 창의적인 일이나 기획.아이디어가 필요한 곳에서 두각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① 계묘(癸卯) 물상론

'계(癸)'는 음수(陰水)로 이슬, 빗방울을 의미하고, '묘(卯)'는 음목(陰木)으로 꽃, 봄의 초목을 뜻합니다. 계묘는 이슬 맺힌 꽃, 봄비 맞은 화초, 토끼가 노는 풀밭, 아침 이슬의 정원의 형상입니다.

묘목(卯木)은 계수(癸水)를 설기시키는 수생목의 구조로, 이슬이 꽃을 키우고 꽃은 이슬을 머금는 아름다운 조화입니다.

물상으로는 이슬 맺힌 꽃, 봄비, 젖은 정원, 청초한 아침으로 해석되며, 청순하고 아름다운 기운입니다.

계묘(癸卯) - 봄비 맞은 화초 - 흑토끼


② 핵심 키워드

청순한 아름다움, 섬세한 감성, 예술적 재능, 순수함, 낭만, 학문 사랑


③ 계묘(癸卯) 일주의 특징

성정(性情): 온화하고 섬세하며 감성적. 순수하고 낭만적인 성격

재능: 예술적 감각과 학문적 재능이 뛰어남. 창의력이 풍부

대인관계: 친절하고 배려심 많으나, 예민하고 상처받기 쉬움

직업: 예술, 문학, 교육, 상담, 화훼, 디자인, 서비스업 등에 적합

건강: 신장, 방광, 간담 계통 주의. 과도한 감수성으로 인한 신경쇠약 유의

계묘(癸卯) - 봄비 맞은 화초 - 흑토끼

특이사항: 묘(卯)목은 계(癸)수의 상관(傷官)이자 건록지로 재능 표현이 뛰어나기에 예술과 학문에 두각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현실성이 부족할 수 있으며 한번 틀어지거나 좋지 못한 관계가 되면 그 사람과는 상대하지 않으려는 속성도 강합니다. 때로는 토끼 같이 민감하고 방어 성향이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돌변하는 성격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것은 계묘(癸卯) 일주가 겉으로 강한 척 하지만 속으로는 끈기가 없으며 여리고 약한 성격의 소유자이기 때문입니다. 


④ 계묘(癸卯) 일주 그림

계묘(癸卯) 일주를 그림으로 그리면 봄비가 내리는 정원 풀 숲에 다소곳하게 있는 작은 흑토끼가 연상됩니다. 봄비가 내리는 정원에 있는 토끼를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단아한 모습이고 실제로 계묘 일주들은 예쁜 사람들이 많습니다.

계묘(癸卯) - 봄비 맞은 화초 - 흑토끼


⑤ 雨露均霑 (우로균첨)

계묘(癸卯)는 오행 구성이 癸(水陰) + 卯(木陰)입니다. 부드러운 음수(癸水)가 섬세한 음목(卯木)을 만나 수생목(水生木)의 조화로운 상생을 이룬다. 癸水는 이슬이나 봄비로, 卯木은 꽃과 풀이다. 마치 봄날 이른 아침 이슬이 꽃잎에 맺혀 있는 형상으로, 청초하고 아름답다. 음과 음이 만나 부드럽고 온화하며, 서로를 살리는 자연스러운 관계다. 급하지 않고 고요하게 성장한다. 온화한 성장, 자연스러운 조화, 청아한 아름다움. 화려하지 않으나 순수하고 깨끗하며, 주변에 은은한 영향을 끼친다. 우로균첨(雨露均霑)은 비와 이슬이 모두 고르게 미치는 것을 뜻합니다.

사주갤러리 - SajuGallery.com

AD

이 그림은 어떤 운명일까요?

이미지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