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戊寅) - 산림의 큰 산 / 누런 호랑이

 무인(戊寅)은 '큰 산이나 바위'를 의미하는 무토(戊)와 숲을 뜻하는 인목(寅)의 모습입니다. 따라서 무인 일주는 바위 위에 숲이 자라는 형상으로도 볼 수 있으며, 이는 강인한 생명력과 의지, 그리고 겉보기에는 든든해 보이지만 속으로는 고독한 형상의 '누런 호랑이'와 같습니다.


무인(戊寅) - 산림의 큰 산 / 누런 호랑이

무인(戊寅)의 형상은 바위 위에 숲이 자란 모습과 같고 강인한 생명력, 굳건한 의지, 겉과 속의 불일치함을 의미합니다. 긍정적으로 본다면 척박한 환경에서도 끈기 있게 성장할 수 있음을 내포하고 부정적으로 보면 겉으로는 든든해 보이나 실상 내면으로는 고독하고 어려움을 숨기고 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무인(戊寅) - 산림의 큰 산 / 누런 호랑이

무인(戊寅)의 성격은 기본적으로 강인하고 신념이 뚜렷하며, 겉으로는 듬직해 보이지만 속으로는 외로움이 있습니다.


① 무인(戊寅) 물상론

'무(戊)'는 양토(陽土)로 큰 산, 둔덕을 의미하고, '인(寅)'은 양목(陽木)으로 큰 숲, 산림을 뜻합니다. 무인은 숲이 우거진 산, 나무가 가득한 언덕, 산림욕장, 범이 사는 깊은 산의 형상입니다.

인목(寅木)은 무토(戊土)를 극하는 목극토(木克土)의 구조로, 나무뿌리가 땅을 파고드는 모습입니다. 그러나 큰 산에 숲이 우거진 것은 자연스러운 형상이며, 나무가 있어야 산이 살아있고 보전됩니다.

무인(戊寅) 물상으로는 나무가 많은 푸른 산, 범이 지키는 큰 산으로 해석되며, 포용력과 생명력이 공존하는 기운입니다.

무인(戊寅) - 산림의 큰 산 / 누런 호랑이


② 핵심 키워드

포용력과 생명력, 자연스러운 조화, 넉넉한 품성, 활동성, 적극성

무인(戊寅) - 산림의 큰 산 / 누런 호랑이


③ 무인(戊寅) 일주의 특징

성정(性情): 활동적이고 적극적이며 포용력이 있음. 정의감이 강함

재능: 추진력과 실행력이 뛰어남. 사람을 이끄는 리더십

대인관계: 인기가 많고 사교적이나, 지나치게 간섭하거나 강압적일 수 있음

직업: 정치, 교육, 종교, 사회운동, 환경, 임업 분야 등에 적합

건강: 위장, 비장, 근골 계통 주의. 목극토로 인한 소화기 질환 유의

특이사항: 인목은 무토의 편관(偏官)으로 권위와 명예를 추구하나 압박도 받음. 인중 병화 편인이 있어 학문운도 있음

무인(戊寅) 일주는 물이 없는 민둥산에 있는 숲과 같은 큰 나무이기에 사주에 수(水)오행이 있어야 길하고, 수(水)가 부족하거나 전혀 없으면 삶이 팍팍하고 살기가 힘들 수 있습니다.

무인(戊寅) - 산림의 큰 산 / 누런 호랑이


④ 무인(戊寅) 일주 그림

무인(戊寅)을 물상론(物象論)으로 보면 큰 산에 큰 나무들이 무성한 모습이고 그곳에 누런 호랑이 떡 하니 자리 잡은 형상입니다. 무인 일주는 양의 뻗어나가는 대지의 기운인 무토와 초봄의 솟구치는 인목의 기운이 만난 것입니다. 


사주갤러리 SajuGallery.com

AD

이 그림은 어떤 운명일까요?

이미지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