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축(己丑)은 천간(天干) 기토(己土)와 지지(地支)의 축토(丑土)로 '밭을 가는 누런 소'의 형상이며, 열심히 일해서 결실을 맺는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기토는 온화한 흙이고 축토는 밭이므로, 근면 성실함을 바탕으로 끈질긴 노력으로 결실을 보는 '황금 소'의 모습입니다.
기축(己丑) - 얼어 붙은 밭 / 누런 소
기축(己丑)은 밭을 가는 누런 소로 볼 수 있습니다. 소는 성실하게 땅을 일구는 이미지를 담고 있습니다. 따라서 근면 성실과 끈기로 어려움을 극복하고 결실을 맺는 성향을 보여줍니다. 기토는 전원의 흙을 의미하는데 축토는 한겨울 섣달의 추운 기운을 의미하므로 기축 일주는 물상적으로 얼어붙어 있는 전원의 흙입니다.
축토의 지장간은 계수(癸水) 편재(偏財), 신금(辛金) 식신(食神), 기토(己土) 비견(比肩)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장간에 비식재가 서로 상생하므로 혼자 스스로 성공하는 경우가 많고 신념과 고집도 있습니다. 한편 천간 기토(己土)에 축토(丑土)가 비견(比肩)으로 작용해 자존심도 엄청 세고 보수적인 성향이 있습니다.
① 기축(己丑) 물상
'기(己)'는 음토(陰土)로 밭, 정원의 흙을 의미하고, '축(丑)'은 음토(陰土)로 겨울의 찬 땅, 습토를 뜻합니다. 기축은 겨울 창고, 얼어붙은 밭, 저장고, 소가 쉬는 외양간의 형상입니다.
기토와 축토가 모두 토로 같은 오행이 겹쳐진 전록의 형태입니다. 축토는 한습한 성질이 있으며 금고(金庫)로 재물을 저장합니다. 축중에는 계수, 신금, 기토가 들어있습니다.
물상으로는 창고, 저장고, 얼어붙은 땅, 겨울 외양간, 금고로 해석되며, 보수적이고 저축하는 기운입니다.
② 핵심 키워드
저축과 보존, 인내와 절제, 실속, 보수성, 완고함, 내면의 부
③ 기축(己丑) 일주의 특징
성정(性情): 침착하고 성실하며 인내심이 강함. 보수적이고 완고함
재능: 관리와 보존 능력이 뛰어남. 재물을 모으는 능력
대인관계: 신뢰할 수 있으나, 융통성이 부족하고 고집이 셈
직업: 금융, 회계, 부동산, 축산, 창고관리, 보험 등에 적합
건강: 비장, 위장, 근골 계통 주의. 습기와 냉기로 인한 질환 유의
특이사항: 기축(己丑) 일주의 지장간은 비견, 식신, 편재로 돈을 벌 수 있는 식상생재의 구조로 십신이 흘러갑니다. 따라서 돈을 잘 벌 수 있고, 잘 모을 수 있는데 이것은 지장간에 자신(己土)이 재능(辛金)을 생하고, 그 재능이 재물(癸水)을 낳는 구조가 내재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비견은 식신을 생하고 식신은 재성을 생하는 구조이다.
너구리 같은 소
축토는 기토의 비겁(比劫)이자 고지(庫地)로 독립적이고 재물을 잘 모으나 인색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축(己丑)일주의 경우 지장간에 있는 계수(癸水)와 신금(辛金)의 재성, 식상 작용도 많이 받아서 남들 모르게 약삭빠른 면이 있고, 돈이 되지 않는 일에는 아예 쳐다 보지도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기축(己丑)은 외견상 계산을 별로 하지 않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속으로 다 주판알을 튕겨보고 돈 되는 일에 신경을 씁니다. 어찌 보면 보통 소와 달리 아주 약삭 빠른 소다 이렇게 보면 됩니다.
④ 기축(己丑) 일주 그림
기축(己丑) 일주를 그림으로 그린다면 누런 황소(黃牛)가 겨울 밭을 갈고 있는 상(象)입니다. 또는 누런 황소(黃牛)가 길 위에서 짐을 지고 있는 모습이기도 합니다.
사주갤러리 - SajuGallery.com
%20-%20%EC%96%BC%EC%96%B4%20%EB%B6%99%EC%9D%80%20%EB%8C%80%EC%A7%80%20-%20%EB%88%84%EB%9F%B0%20%EC%86%8C%201.jpg)
%20-%20%EC%96%BC%EC%96%B4%20%EB%B6%99%EC%9D%80%20%EB%8C%80%EC%A7%80%20-%20%EB%88%84%EB%9F%B0%20%EC%86%8C%202.jpg)
%20-%20%EC%96%BC%EC%96%B4%20%EB%B6%99%EC%9D%80%20%EB%8C%80%EC%A7%80%20-%20%EB%88%84%EB%9F%B0%20%EC%86%8C%203.jpg)
%20-%20%EC%96%BC%EC%96%B4%20%EB%B6%99%EC%9D%80%20%EB%8C%80%EC%A7%80%20-%20%EB%88%84%EB%9F%B0%20%EC%86%8C%204.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