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묘(辛卯)는 천간 신금(辛金)과 지지 묘목(卯木)의 결합으로, 섬세하면서도 안정적인 성향이 특징입니다. 신묘(辛卯) 일주의 물상은 '뿔난 토끼' 또는 '귀를 쫑긋 세운 토끼'로, 밝은 성격과 뛰어난 재주를 상징하고 '서리가 앉은 화원의 흰토끼'와 같습니다.
신묘(辛卯) - 서리가 앉은 화원 / 흰 토끼
신묘(辛卯)의 물상(物象)은 하얀 토끼인 백토(白兎)의 상(象)입니다. 또한 절단된 초목, 낫으로 풀을 베고 있는 형국이기도 합니다. 신묘(辛卯)의 물상은 가을 서리(신금, 辛金)와 토끼(묘목, 卯木)가 결합된 모습으로 작은 화초에 살포시 내려앉은 서리의 모습과도 같습니다.
신묘(辛卯)는 보석(신금)을 품고 있는 토끼에 비유되며, 뛰어난 재능과 꼼꼼함, 융통성이 없는 면을 모두 가지고 있는 성향을 나타냅니다. 신(辛)은 보석이며 묘(卯)는 긴 줄이자 고리의 물상이니 금반지나 금목걸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신묘 일주는 귀티가 나고 가만히 있어도 이성이 따르는 운명입니다. 한편 신묘 일주의 일지는 묘목(卯木)으로 지장간 속 갑목(甲木), 을목(乙木)의 재성의 성질을 모두 내포하고 있습니다.
① 신묘(辛卯) 물상론
'신(辛)'은 음금(陰金)으로 보석, 귀금속을 의미하고, '묘(卯)'는 음목(陰木)으로 꽃, 봄의 초목을 뜻합니다. 신묘는 꽃에 꽂힌 장신구, 화관, 꽃장식, 토끼와 보석, 봄날의 금속 장식의 형상입니다.
묘목(卯木)은 신금(辛金)을 극하는 목극금의 구조로, 나무가 금을 손상시키는 모습입니다. 그러나 이는 꽃에 아름다운 장신구를 다는 것처럼 서로 어울려 더 큰 아름다움을 만들어냅니다.
물상으로는 화관, 꽃장식, 봄날의 장신구, 토끼 귀걸이로 해석되며, 화려하고 섬세한 아름다움을 나타냅니다.
② 핵심 키워드
섬세한 화려함, 예술적 감각, 자존심, 예민함, 품격, 아름다움 추구
③ 신묘(辛卯) 일주의 특징
성정(性情): 우아하고 세련되었으나 예민함. 품위와 격식을 중시
재능: 예술적 감각이 뛰어남. 미적 안목과 창의력
대인관계: 매력적이고 인기가 있으나, 까다롭고 비판적일 수 있음
직업: 예술, 디자인, 패션, 미용, 귀금속, 화훼, 문화 등에 적합
건강: 폐, 대장, 간담 계통 주의. 신경이 예민하여 스트레스 유의
특이사항: 묘목은 신금의 편재(偏財)로 재물운이 있으나 손해도 따를 수 있습니다.목극금이 심해 내면의 갈등도 있습니다. 한편 지장간이 재성 혼잡이라 이성 문제로 구설수에 오르기 쉽고 십이운성이 절(絶)이라 신묘 일주 남성은 부부해로 하기가 어려운 일주이기도 합니다.
여자 따라 삼만리 행 토끼
신묘(辛卯)일주가 사주명식이 좋지 않거나 대운에서 충(沖)을 받으면 재성이 지장간에 혼잡(混雜)되어 있기 때문에 밖에서 또 다른 여자를 찾으러 토끼처럼 돌아 다닙니다.
④ 신묘(辛卯) 일주 그림
신묘(辛卯) 일주를 그림으로 그린다면 귀를 쫑끗 세운 토끼가 서리를 맞은 화원에 다소곳하게 앉아 있는 모습입니다. 무슨 소리가 들릴지 귀를 쫑끗 세운 토끼입니다.
사주갤러리 - SajuGallery.com
%20-%20%EB%B4%84%EB%82%A0%20%EC%84%9C%EB%A6%AC%EA%B0%80%20%EC%95%89%EC%9D%80%20%ED%99%94%EC%9B%90%20%20%ED%9D%B0%20%ED%86%A0%EB%81%BC%201.jpg)
%20-%20%EB%B4%84%EB%82%A0%20%EC%84%9C%EB%A6%AC%EA%B0%80%20%EC%95%89%EC%9D%80%20%ED%99%94%EC%9B%90%20%20%ED%9D%B0%20%ED%86%A0%EB%81%BC%202.jpg)
%20-%20%EB%B4%84%EB%82%A0%20%EC%84%9C%EB%A6%AC%EA%B0%80%20%EC%95%89%EC%9D%80%20%ED%99%94%EC%9B%90%20%20%ED%9D%B0%20%ED%86%A0%EB%81%BC%203.jpg)
%20-%20%EB%B4%84%EB%82%A0%20%EC%84%9C%EB%A6%AC%EA%B0%80%20%EC%95%89%EC%9D%80%20%ED%99%94%EC%9B%90%20%20%ED%9D%B0%20%ED%86%A0%EB%81%BC%204.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