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금(庚金)은 십천간(十天干) 중 일곱 번째에 해당하는 양(陽)의 금(金)기운이다. 경금(庚金)은 단단하고 강하며 견고하다. 금속, 바위, 원석, 광석과 같이 다듬어지지 않고 제련되지 않은 상태이며 팽창하던 기운이 수축하여 열매를 맺는 시기를 상징한다. 성숙해진 만물이 모습을 바꾸는 '더 고치다'는 뜻의 '더 고치다(更)'에서 유래한 경금(庚金)은 음의 기운이 결실을 얻기 위해 외부의 에너지를 응축하는 기운이기도 하다.
庚金(경금) - 양금(陽金)
① 적천수(滴天髓)
原文: 庚金帶煞, 剛健爲最, 得水而淸, 得火而銳, 土潤則生, 土乾則脆, 能贏甲兄, 輸於乙妹
경금(庚金)은 살기(殺氣)를 띠어(庚金帶煞), 강건함이 가장 심하다(剛健爲最) — 도검·무기의 상징. 강렬하고 예리한 기운이다.
물을 얻으면 맑아지고(得水而淸), 불을 얻으면 예리해진다(得火而銳) — 수로 씻으면 광택·청결, 화로 제련하면 날카로움·강도 증가한다.
토가 윤택하면 생하고(土潤則生), 토가 건조하면 부서지기 쉽다(土乾則脆) — 습한 토(기토)에서 생하면 안정적이나, 건조한 토(무토 과다)에선 매몰되거나 부스러진다.
능히 갑목 형을 이기나(能贏甲兄), 을목에게는 진다(輸於乙妹) — 금극목(金克木)으로 큰 나무(갑목)는 벨 수 있으나, 유연한 덩굴(을목)은 감아오르며 저항하여 경금(庚金)이 오히려 손상된다. 강한 것은 강한 것에, 유연한 것은 유연한 것에 대응하는 원리이다.
주해
庚金帶殺(경금대살) 경금은 살을 차고 있어 그 기운이 살기가 있고, 剛健爲最(강건위최) 굳세고 튼튼하기기 십간(十干) 중 가장 최고이다. 경금이 得水而淸(득수이청) 수를 얻으면 살기를 흘려보내 맑아지고, 得火而銳(득화이예) 화를 만나면 몸을 달궈 날카롭게 변한다. 土潤則生(토윤즉생) 습토에서는 생기를 얻고, 土乾則脆(토건즉취) 건토를 보면 망한다. 能贏甲兄(능영갑형 ) 갑목은 여지없이 떨쳐내 이겨내나 輸於乙妹(수어을매) 을목을 보면 반갑게 화합한다.
경금(庚金)은 양에서 음으로 변화하는 가장 강한 기운의 시작이다. 생명이 발산되는 양의 기운에서 수렴의 힘으로 바뀌는 것을 살(殺)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② 궁통보감(窮通寶鑑)
原文: 庚金乃陽金, 剛健肅殺之金, 如刀劍斧鉞, 能伐木立威, 喜丁火以煆, 賴壬水以洗, 土厚則埋, 木旺則折
경금(庚金)은 양금(陽金)이니 강건하고 숙살(肅殺)의 금이다. 마치 도검과 부월(斧鉞·큰 도끼)과 같아서 능히 나무를 베고 위엄을 세운다(能伐木立威). 화를 좋아하여 단련하고(喜丁火以煆) 정화(등불·작은 불)로 제련하면 예리한 명검이 된다. 임수를 힘입어 씻고(賴壬水以洗) 임수(큰 물)로 씻으면 광택·청결해진다. 토가 두터우면 묻히고(土厚則埋) 토가 과다하면 경금이 매몰된다. 목이 왕성하면 부러진다(木旺則折) 이 너무 강하면(큰 나무 많음) 경금이 오히려 부러진다는 말로 도끼로 벨 수 없을 정도의 거목이라는 것이다.
주해
경금(庚金)은 큰 칼, 쇠로 된 강한 무기, 도끼 등으로 "丁火煆金, 壬水洗金" 즉 정화로 제련하거나 임수로 세척해야 최고의 조합이 된다. 토가 과다하면 경금은 매몰되고, 목이 과다하면 부러지니 균형이 중요하다.
③ 자평진전(子平眞詮)
原文: 庚金屬陽, 質堅而性剛, 爲刀劍之金, 賴丁火以成器, 得壬水以增輝, 土生金旺, 木多金缺
경금(庚金)은 양(陽)에 속하니 바탕이 견고하고(質堅) 성질이 강하다(性剛). 도검의 금이다. 정화를 힘입어 그릇을 이루고(賴丁火以成器) 정화로 제련하여 명검·기물 완성된다. 임수를 얻어 빛을 더한다(得壬水以增輝). 임수로 씻어야 경금이 빛나고 광택이 난다. 토가 금을 생하여 왕성하나(土生金旺), 목이 많으면 금이 결손된다(木多金缺) . 즉 토생금은 유리하나, 목이 과다하면 경금 손상(부러짐·무뎌짐)된다.
주해
경금(庚金)은 명검·기물로 정화로 제련, 임수로 광택을 내야 한다. 토생금 유리하지만 목 과다는 불리 하니 균형이 핵심이다.
④ 명리정종(命理正宗)
原文: 庚金爲肅殺之金, 剛強果斷, 有義氣俠骨, 喜火煆煉成器, 忌土厚埋沒, 水淸金白, 木多反損
경금(庚金)은 숙살(肅殺)의 금이니, 강하고 과단성 있으며(剛強果斷), 의기와 협골이 있다. 불을 좋아하여 단련하고 그릇을 이루고(喜火煆煉成器) 화로 제련하여 명검·기물 완성한다. 토가 두터워 매몰됨을 꺼리고(忌土厚埋沒) 토 과다로 묻힘이 불리하다. 물이 맑으면 금이 희고(水淸金白) 깨끗한 물로 씻으면 금이 희고 밝다. 나무가 많으면 도리어 손상된다(木多反損). 목 과다는 경금 손상이다.
주해
경금(庚金)은 의협심·과단성·정의감의 상징이고 인물로 보면 의협지사·군인·경찰·법조인이다. 반드시 화(제련)·수(청정) 필요하고, 토 과다·목 과다 불리하다.
2. 경금의 형상·성질·계절
형상: 칼·도끼·창·갑옷·전차·철기·광석·금속 — 날카롭고 강한 무기·도구이다.
신금(辛金)이 보석이라면, 경금(庚金)은 무기·철기이다.
성질(기질):
강건·과단·의협·숙살 — 강하고 예리하며 결단력 있다.
정의감·원칙주의 — 옳고 그름이 분명. 타협 없다.
직선적·공격적 — 부드러움 없이 직진. 때로 과격하다.
살기(殺氣) — 베고 자르는 기운. 파괴와 창조적이다.
강직불굴 — 굽히지 않는 강인함. 유연성 부족하다.
계절로 보면 경금(庚金)은 가을(申酉戌)에 왕성, 특히 申(신)월은 경금(庚金)의 녹지(祿地)이니 금기 최왕이다. 여름(巳午未)에는 화기 왕성하니 경금이 제련되는 계절이다. 화제금(火制金)으로 명검 완성. 유리하다. 겨울이면 겨울 수기 왕성하니 임수로 씻어지면 유리하나, 과도한 수는 녹슬거나 침수된다. 봄(寅卯辰)은 목기 왕성으로 목극금(木克金)은 없으나 목이 과다하면 경금 손상된다.
핵심 명제:
경금(庚金)은 정화(제련)·임수(세척) 필수 — "丁火煆庚金, 壬水洗庚金".
토윤생·토건취 — 습토(기토)에서 생, 건토(무토) 과다는 매몰·부스러진다.
능승강·수패유 — 갑목(강함)은 베나, 을목(유연)에는 진다.
토 과다 = 매몰, 목 과다 = 부러짐 — 균형이 핵심이다.
3. 庚金(경금), 어떤 천간·지지를 만나야 좋은가
① 丁火(정화) — 최고의 제련·煆金
"喜丁火以煆" / "賴丁火以成器" — 정화(등불·작은 불)는 경금(庚金)을 세밀하게 제련하여 명검·기물 완성. 庚金에게 정화가 최고이다. 정화는 경금의 예리함·가치 극대화시킨다. 정화는 경금을 제련하여 명검·보검·기물 완성하여 성취·명예·권위를 가져 오게 한다. 경금(의협·과단) + 정화(문명·섬세) = 무예·기술·법조 분야 대성한다. 지지에 巳(사), 午(오)는 화기를 제공하는데 특히 정화와 지지 巳午가 함께 있으면 최고이다. 경금 + 정화 = 火制金 의 최고 조합이다. 명리학에서 가장 이상적인 제련 관계이다. 한편 丙火는 병화(태양)도 경금을 단련하나, 정화(등불)가 더 세밀하고 정교하다. 고전에서는 경금(庚金)에게 정화(丁火)를 더 우선시 한다.
② 壬水(임수) — 세척·光澤
"得水而淸" / "賴壬水以洗" / "水淸金白" — 임수(강·큰 물)로 경금을 씻으면 광택·청결·빛나게 한다. 경금(庚金)의 살기(殺氣)·조급함 완화사켜서 청정·지혜 획득하게 한다. 임수는 경금을 금생수(金生水) 로 설기(泄氣)하여 과도한 강함 조절한다. 제련된 칼을 담금질 하는 격이다. 경금(강건) + 임수(지혜·유연)로 강함과 부드러움의 조화를 가져와 리더십이나 전략에 뛰어난 인물이 된다. 지지에 亥(해), 子(자)가 있으면 수기를 제공한다. 庚金 + 丁火 + 壬水은 그래서 최고의 삼합(三合)이 된다.
철광석 제련(정화) + 검 세척(임수) = 명검 완성 + 광택이 난다.
③ 己土(기토) — 습토·안정 생금
"土潤則生" — 습한 토(기토)는 경금을 안정적으로 생한다. 토생금(土生金) 한다. 기토는 경금의 뿌리·양분을 준다. 습토라서 경금을 부드럽게 생하고 매몰시키지 않는다. 경금(강건) + 기토(유순·포용)로 안정감을 준다. 그러나 戊土(무토·건토) 과다는 "土乾則脆"으로 경금을 매몰시키거나 부스러지게 한다. 무토 보다 기토가 더 유리하다. 한편 토가 너무 많으면(土厚則埋) 경금(庚金)이 매몰되니 불리하다.
④ 申(신) — 경금의 녹지·왕지
申은 경금(庚金)의 祿地(녹지)로 권위·왕성함·안정의 자리이다. 경금이 申월(음력 7월)생이거나 지지에 申이 있으면 기본적으로 금기가 강하다. 그러나 申이 많거나 금기 과다하면 금강불굴(金剛不屈)로 유연성이 없기에 수·화로 조절할 필요가 있다.
⑤酉(유) — 금기 제공
酉는 신금의 녹지이나 경금에게도 금기 제공한다. 경금의 금기 증강이다. 그러나 酉가 많으면 금기 과다로 조절이 따라야 한다.
⑥ 巳酉丑 삼합금국 (신약한 경금에게)
巳(화)·酉(금)·丑(토)이 합하면 金局(금국) 형성되어 금기가 극대화 된다. 경금(庚金)이 약(신약) 한 경우에는 금국으로 보강, 유리하다. 그러나 경금(庚金)이 강(신강)하면 금국으로 과강, 불리하다. 화·수로 조절되어야 한다.
⑦ 적정한 甲木(갑목) — 벌목·성취 대상
"能贏甲兄" — 경금(庚金)은 갑목(큰 나무)을 베는 것이 본성이다. 금극목(金克木)이다. 경금의 기능·역할을 제대로 발휘한다. 갑목은 경금의 극(克) 대상이자 일(作業)의 대상이다. 경금(도끼) + 갑목(큰 나무)은 할 일이 있는 것이다. 지지에 寅(인)은 갑목 기운으로 좋다. 그러나 갑목이 너무 많으면(木多金缺) 경금(庚金)이 오히려 무뎌지니 도끼가 부러지는 격이 된다. 따라서 나무도 적당한 것이 좋은 것이다.
⑧ 불리한 기운
과다한 甲乙木(갑을목)은 목다금결로 도끼가 부러진다. "木旺則折" / "木多金缺" — 나무가 너무 많으면(큰 나무 숲) 경금(도끼)이 부러지거나 무뎌진다. 목이 과다하면 경금(庚金)의 예리함이 손상되고 과로나 스트레스에 시달린다. 봄생 경금(목왕)에 목이 과다하면 극한의 손상을 입는다. 지지에 寅卯辰 중복되고 甲乙木 많다면 목기 과잉으로 도끼가 망가진다. 도끼가 무용지물이니 인생에서 헛짓거리 하다가 망한 격이다.
乙木(을목) "輸於乙妹"으로 경금(庚金)은 유연한 을목(덩굴)에게 진다. 을목이 경금을 감아오르며 손상시킨다. 경금의 강직함이 오히려 약점으로 유연함에 패배 당한다. 乙庚合金(을경합금) 발생 시에 경금이 금으로 化하나 을목에게 묶인다. 그러니까 강철 보검이 덩굴에 묶인 격이다. 경금(강직·원칙) + 을목(유연·변통) = 갈등·속박으로 된다. 지지에 卯(묘)는 을목 기운이다. 천간에 庚과 乙이 함께 있으면 乙庚合金 발생되니 경금에게 대체로 불리(속박·손상)하다.
과다한 戊己土(무기토)는 토후칙매·매몰(土厚則埋 土乾則脆)이니 토가 두터우면 경금이 묻히고, 건조한 토는 경금(庚金)을 부스러뜨린다. 대체적으로 토생금은 유리하나, 토 과다는 경금 매몰되어 답답하다. 특히 戊土(건조·산토) 과다는 경금을 부스러뜨림(脆)을 경계한다. 지지에 辰戌丑未 중복되고 戊己土 많으면 토기 과잉이니 경금이라는 보검이 땅 속에 묻힌 격이다. 결국 빛을 내지 못하고 땅 속에 묻혔으니 세상에서 인정을 받지 못하고 산다.
과다한 壬癸水(임계수)는 금침수저로 경금(庚金)을 녹슬거나 침수시킨다. 수는 적정하면 세척(吉)이나, 과다하면 금생수(金生水)로 경금 설기 과다 또는 침수로 녹슬거나 물에 빠진다. 결국은 경금의 생명력을 소진시키는 것이다. 경금이 물에 잠기거나 녹슬어 예리함 상실된 형국이다. 지지에 亥子丑 중복되고 임계수가 많다면 수기 과잉이다. 수가 너무 많으면 경금(庚金)은 물에 잠긴 칼에 불과하다.
丙火 과다(강한 불)는 경금(庚金)을 녹여 버린다. 경금의 형체를 상실·소멸시킨다. 지지에 巳午未가 중복되는데 또 丙火가 많다면 화기 극과잉이다. 정화(등불)는 철광석을 적정하게 제련하지만 병화(태양) 과다는 오히려 용해시킨다.
⑨ 合(합)·沖(충)·刑(형) 관계
卯酉衝(묘유충): 卯(목)와 酉(금) 충돌. 경금에게 매우 불리하다.
巳申刑(사신형): 巳(화)와 申(금)의 형(刑). 화극금 + 불안정하다.
申亥相害(신해상해): 申(금)과 亥(수)의 해(害). 금생수 과다·불안정하다.
4. 용신 지침
① 경금(庚金)이 강한 경우(가을·금多·신강)
가을(申酉戌)생에 庚辛申酉 많고 巳酉丑 금국이면 금기 과잉(身强)이다. 과도하게 강직·조급·공격적이니 유연성·순화가 필요하다.
水(壬癸) — 금생수로 설기·순화. 특히 임수(세척) 최고, 경금의 살기를 지혜로 전환한다.
火(丁火 우선) — 화제금(火制金)으로 제련·가치 창출, 정화(세밀 제련) 최고이다.
木(甲木 적정) — 경금(庚金)의 극(克) 대상, 일·성취 제공, 과다는 금지이다.
土는 소량만 — 신강한 경금에 토 과다는 매몰된다.
경금(庚金)신강에 丁火와 壬水를 보면 제련과 세척이니 보검이 되어 최고의 성취를 이룬다. 경금 신강에 임수(壬水)가 되면 설기·순화되어 지혜롭고 리더십이 있다. 경금(庚金) 신강에 甲木이 적정하면 생산적이다.
② 경금(庚金)이 약한 경우(여름·목多·신약)
여름(巳午未)생 또는 봄(寅卯辰·목왕)생이 甲乙寅卯 많거나 또는 丙丁巳午 많은 경우는 금기 쇠약(身弱)이다.
土(己土 우선, 戊土 적정) — 토생금으로 보강. 기토(습토) 최고이다.
金(庚辛·申酉) — 동료·비견으로 금기 증강한다.
木은 금지 — 약한 경금에 목 과다는 부러짐·손상된다.
火는 신중 — 약한 경금에 화 과다는 용해·소멸. 정화 소량은 가능하다.
水는 적정 — 약한 경금에 수 과다는 설기 과다이다.
경금(庚金) 신약에 己土·庚金은 보강·안정이니 성장 가능하다. 경금 신약에 甲乙木 과다하면 목다금결로 부러짐·흉격이 된다. 경금 신약에 丙火가 과다하면 용해·소멸되니 흉격이다.
5. 사례로 쉽게 庚金(경금) 이해하기 쉽게
① 좋은 예 — 길한 조합
경금(庚金) + 정화 + 임수 (가을생, 최고 조합), 庚日주 가을생(申월·신강)이 天干에 丁·壬을 보고 地支에 申子巳이 깔린 경우이다. 가을(금왕)에 경금 극도로 왕성(신강)하나 丁火로 "丁火煆庚金" 실현한다. 정화로 세밀하게 제련하니 명검이다. 여기에 壬水로 "壬水洗庚金" 실현하여 물로 씻어 광택을 내니 세상에 반짝인다. 地支 申(금기) + 子(수기) + 巳(화기) — 금·화·수는 아주 좋은 조화이다. 강함(경금) + 제련(정화) + 세척(임수) = 명검·최고이다. 인생이 반짝반짝한다.
경금(庚金) + 기토 + 정화 (여름생, 생금+제련), 庚日주, 여름생(午월)에 己土·丁火 있고 지지에 巳午未丑가 있을 경우이다. 여름(화왕)에 경금은 약할 수 있으나 己土로 "土潤則生" 실현한다. 습토로 경금이 안정 생성된다. 여기에 丁火 정화로 제련하니 명검 완성이다. 地支 巳午未(화기)가 있고 丑(습토)가 있으니 화·토·금 순환이 된다. 결과적으로 생금(기토) + 제련(정화) = 안정적 성취를 가져 온다.
경금(庚金) + 갑목 + 임수 (적정 구성, 벌목+세척), 庚日주, 가을생(酉월·신강)에 甲木·壬水 적정하고 지지에 寅酉子가 있을 때이다. 가을은 경금 왕성한 시기로 甲木을 보면 "能贏甲兄"을 실현한다. 경금이 갑목(큰 나무)을 벌목하니 생산성이 있고 성취감이 크다. 여기에 壬水로 세척을 하니 경금은 청정·지혜롭다. 地支 寅(목기) + 酉(금기) + 子(수기) — 목·금·수 순환되니 조화롭다. 벌목(갑목) + 세척(임수) = 생산적이고 지혜롭다.
② 흉한 예 — 불리한 조합
경금(庚金) + 목 과다 (봄생, 목다금결), 庚日주, 봄생(卯월)에 天干에 甲乙이 많고 地支에 寅卯辰 중복된 때이다. 봄(목왕)이라 경금이 본래 쇠약한데 甲乙 과다로 "木旺則折" / "木多金缺" 실현된다. 나무가 너무 많아 경금이 부러지고 무뎌진다. 土金 부족하여 보강도 없다. "부러진 도끼" 가 된 형상이니 살면서 실패가 따른다.
경금(庚金) + 토 과다 (매몰), 庚日주, 戊己土 많고 地支에 辰戌丑未 중복된 경우에 戊己 과다하니 "土厚則埋"이다. 토가 두터워 경금이 묻혔다. 戊土(건토) 많으면 "土乾則脆"이다. 건조한 토에서 경금 부스러진 형상이다. 여기에 水火도 부족하니 세척과 제련 과정이 없다. 극도의 매몰로 답답한 인생이다. "땅 속에 묻힌 칼"이니 좌절된 인생이다.
경금(庚金) + 수 과다 (침수·녹슬음), 庚日주, 겨울생(子월)이 天干에 壬癸 많고 地支에 亥子丑 중복된 경우이다. 겨울(수왕)이라 경금이 침수 위험이 있다. 壬癸 과다로 금생수로 경금이 과다 설기 되면서 물에 빠져 녹이 슨다. 土火 부족하여 생금과 제련도 하지 못한다. 극도의 설기로 무기력한 인생이다. "물에 잠긴 칼" 형상이니 쓸모가 없는 삶이다.
경금(庚金) + 을경합 (신약한 경금, 속박), 庚日주, 봄생(卯월·신약)에 乙木 많아 乙庚合金 성립된 경우이다. 봄 + 신약하니 경금이 약하다. 乙木 과다에 합화를 하니 "輸於乙妹"이 되었다. 을목이 경금을 감고 손상시킨 격이다. 신약한 경금이 합화로 더욱 속박되고 손상받았다. 살면서 남에게 끌려다니고 자신의 주체성이 없이 산다. "덩굴에 감긴 칼" 형상이니, 답답한 삶이다.
6. 庚金(경금)의 핵심 명제
庚金(경금)의 시간(계절)·주변(간지)·개별성(강약)을 놓고 종합 판단해야 한다.
같은 경금(庚金)이라도 어느 계절이냐에 따라서 다르다.
가을생 → 극왕(신강) → 수(세척·설기)·화(정화·제련) 필요하다.
여름생 → 제련 계절이나 약함 → 토(생금)·수(조후) 필요하다.
봄생 → 목왕·약함 → 토(생금)·금(보강) 필수이다.
겨울생 → 수왕·침수 → 토(생금)·화(제련) 필요하다.
경금(庚金)의 핵심 명제는 바로 이것이다.
"丁火煆庚金, 壬水洗庚金" — 정화로 제련, 임수로 세척하면 최고 조합이다.
"土潤則生, 土乾則脆" — 습토에서 생, 건토에서 부스러진다.
"能贏甲兄, 輸於乙妹" — 강한 것은 이기나 유연한 것에 진다.
"木旺則折, 土厚則埋" — 목 과다는 부러지고, 토 과다는 매몰된다.
"剛健爲最" — 강건함이 최고이나 과하면 부러짐. 유연성 필요하다.
사주갤러리 - SajuGallery.com
%20-%20%EC%96%91%EA%B8%88(%E9%99%BD%E9%87%91)%201.jpg)
%20-%20%EC%96%91%EA%B8%88(%E9%99%BD%E9%87%91)%202.jpg)
%20-%20%EC%96%91%EA%B8%88(%E9%99%BD%E9%87%91)%203.jpg)
%20-%20%EC%96%91%EA%B8%88(%E9%99%BD%E9%87%91)%204.jpg)
%20-%20%EC%96%91%EA%B8%88(%E9%99%BD%E9%87%91)%205.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