己土(기토) - 음토(陰土)

기토(己土)는 십간(十干)의 여섯 번째 천간이다. 기토(己土)는 음(陰)의 흙으로, 논밭과 같은 습하고 윤택한 땅, 정원의 흙, 비옥하고 부드러운 토지,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는 기름진 대지의 형상이다. 기토(己土)는 무토(戊土)의 양기를 거두고 음기로 바뀌면서 경금(庚金)의 배양을 준비한다. 기토는 만물을 생산하고 기르는 대지의 어머니와 같은 기운이다.


己土(기토) - 음토(陰土)

① 적천수(滴天髓)

原文: 己土卑濕, 中正蓄藏, 不愁木盛, 不畏水狂, 火少火晦, 金多金光, 若要物旺, 宜助宜幫

기토(己土)는 낮고 습하다(己土卑濕), 중정(中正)으로 축장(蓄藏)한다 — 낮은 땅·습한 흙. 중정한 성질로 만물을 품고 저장한다.

나무가 성함을 근심하지 않고(不愁木盛), 물이 미친 듯함을 두려워하지 않는다(不畏水狂) — 무토와 달리 기토는 목·수에 강함. 습토라서 물을 흡수하고, 부드러워서 나무를 받아들인다.

불이 적으면 불이 어두워지고(火少火晦), 금이 많으면 금이 빛난다(金多金光) — 화가 적으면 기토(습토)가 화를 흡수하여 화가 어두워짐. 금이 많으면 기토(己土)가 금을 생하여 금이 빛난다.

만약 만물이 왕성하기를 바란다면(若要物旺), 마땅히 돕고 도와야 한다(宜助宜幫) — 기토는 부드럽고 습하여 스스로 강하기 어렵기에 다른 오행의 도움(특히 화·토)을 필요로 한다.

己土(기토) - 음토(陰土)

주해

기토(己土)는 비습(卑濕)으로 낮고 축축한 전답·습지이며 무토(산·건조)와 대조적이다. 중정축장 (中正蓄藏),치우침이 없이 바르게 사물을 모아서 갈무리한다. 불우목성·불외수광(不愁木盛·不畏水狂) 목·수에 강하고 유연하게 받아들이고 흡수한다. 화소화회·금다금광(火少火晦·金多金光) 화 적으면 흡수(晦), 금 많으면 생산(光)한다. 의조의방(宜助宜幫) 다른 오행의 도움과 보조가 있어야 하고 독립성이 약하다.


② 궁통보감(窮通寶鑑)

原文: 己土陰土, 卑濕之土, 有田園之象, 能生萬物, 柔順而化育, 喜火以燥, 得金以成, 逢水不忌, 見木不傷

기토(己土)는 음토(陰土)요 비습(卑濕)한 흙이니, 전원(田園)의 형상이 있다. 능히 만물을 생하니(能生萬物), 유순하게 화육(化育)한다. 불을 좋아하여 건조하게 하고(喜火以燥) — 습토에 화(온기·건조)가 필요하다. 금을 얻어 이루고(得金以成) 토생금으로 금 생산·가치 창출한다. 물을 만나도 꺼리지 않고(逢水不忌) — 습토라서 물을 흡수·포용. 물에 강하다. 나무를 보아도 상하지 않는다(見木不傷) — 유연한 습토라서 나무(목극토)를 부드럽게 받아들인다.

주해

기토(己土)는 전답·논·습지로 만물을 생육하는 부드러운 흙이다. 유순화육(柔順化育) 유연하고 순응하며 만물을 키운다. 화(건조)·금(생산) 유리하고 수·목에 강하며 포용력·적응력이 있다.


③자평진전(子平眞詮)

原文: 己土屬陰, 性柔質軟, 爲田園之土, 生養萬物, 喜火以暖, 愛水以潤, 不畏木克, 能化金氣

(己土)는 음(陰)에 속하고, 성질이 유(柔)하며 바탕이 연(軟)하다. 전원의 흙이니, 만물을 생양(生養)한다. 불을 좋아하여 따뜻하게 하고(喜火以暖) 화로 온기·건조한다. 물을 사랑하여 윤택하게 한다(愛水以潤) 습토라서 물도 필요하다. 나무의 극을 두려워하지 않고(不畏木克) 유연하게 목을 받아들인다. 금기를 화할 수 있어(能化金氣) 토생금으로 금 생산한다. 

주해

기토(己土)는 유연하고 부드럽다. 무토의 강직함과 대조적이다. 화(온기)·수(습윤) 모두 필요한데 균형이 핵심이다. 목에 강하고 금을 생산하여 포용력·생산력이 뛰어나다.


④삼명통회(三命通會)

原文: 己土爲田園濕土, 種植五穀, 載養萬物, 其性柔順謙恭, 得火而實, 遇水而潤, 見木而疏, 逢金而秀

기토(己土)는 전원의 습토이니 오곡을 심고(種植五穀) 만물을 실어 기른다(載養萬物). 그 성질이 유순하고 겸공하다(柔順謙恭). 불을 얻으면 견실해지고(得火而實) 화로 단단해지며 성숙하다. 물을 만나면 윤택해지고(遇水而潤) 수로 촉촉함이 있다. 나무를 보면 소통되고(見木而疏) 목으로 개간·활성화 된다. 금을 만나면 수려해진다(逢金而秀). 금을 생하여 수려함과 가치가 있다.

주해

기토(己土)는 농업·양육·교육이며 씨앗을 품고 키우는 역할을 한다. 유순겸공(柔順謙恭), 온화·협조적·겸손하다. 화·수·목·금 모두 조화롭고 포용력·적응력이 최고이다.

己土(기토) - 음토(陰土)


2. 己土(기토) 형상·성질·계절

형상: 기토(己土)는 전답·논·습지·진흙·구름·안개이며 낮고 습한 땅이다.

무토(戊土)가 산·언덕이라면, 기토(己土)는 평지·논밭이다.

성질(기질):

유순겸공(柔順謙恭) — 부드럽고 순응하며 겸손하다.

포용력·적응력 — 만물을 받아들이고 키움. 목·수에도 강하다.

화육(化育) — 씨앗을 품고 생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의존성(宜助宜幫) — 스스로 강하기 어려움. 화·토의 도움이 필요하다

비습(卑濕) — 낮고 습한 성질이다.

계절성:

사계절(四季·辰戌丑未) 토는 사계절 말에 왕성하다. 여름(巳午未)에는 화생토로 왕성, 화로 건조·견실화하다. 겨울(亥子丑)에는 수기 왕성하고 습토가 더욱 습하여 화(온기) 필요하다. 봄(寅卯辰)에는 목극토이나 기토는 부드러워서 목을 받아들인다. 가을(申酉戌)에는 금기 설기, 적정 금은 유리(생산)하다.

핵심 명제:

기토는 화(건조·온기) 필수 — "喜火以燥" / "得火而實".

수·목에 강함 — "不愁木盛, 不畏水狂" / "逢水不忌, 見木不傷".

금 생산 — "金多金光" / "能化金氣".

도움 필요 — "宜助宜幫". 독립성 약하다.

己土(기토) - 음토(陰土)


3. 己土(기토) , 어떤 천간·지지를 만나야 좋은가

① 丙火·丁火(병화·정화) — 화조기·견실화

"喜火以燥" / "得火而實" — 습한 기토(己土)에는 화(햇빛·온기)가 필요하다. 화기는 기토(己土)를 건조시키고 견실하게 만든다. 기토의 생명력·역량 증강시킨다. 특히 겨울생·수 많은 기토는 화(火) 필수 — 한랭·과습 해소시킨다. 화는 기토를 성숙·단단하게 만든다. 지지 巳(사), 午(오) — 화기 제공한다. 그러나 화가 너무 많으면 기토(己土)가 지나치게 건조되어 무토처럼 변한다.

② 庚金·辛金(경금·신금)은 토생금·수려화

"金多金光" / "逢金而秀" — 토생금으로 금 생산. 기토가 금을 생하여 수려함·가치 창출한다. 기토의 출력·생산성을 높인다. 금은 기토의 "자식" 으로 양육·교육의 성과가 있다. 특히 신강한 기토는 금으로 설기·출력 유리하다. 지지 申(신), 酉(유)은 금기를 제공한다. 단, 금이 너무 많으면 기토가 설기되어 무기력해지는 것에 주의한다.

③ 적정한 壬水·癸水(임수·계수)는 수윤기·생기

"逢水不忌" / "遇水而潤" — 기토(己土)는 습토라서 물을 흡수·포용한다. 적정 수는 윤택·생기 제공한다. 기토의 화육(化育) 기능 강화한다. 특히 여름생·화 많은 기토는 수(윤택) 유리하다. 무토와 달리 기토는 수에 강하기에 유실 위험은 적다. 지지 子(자), 亥(해)는 기토에게 적정한 수기를 제공하면 유리하다. 그러나 수가 극도로 많으면 기토도 과습·무기력 될 수 밖에 없기에 화(건조) 필요하다.

④ 적정한 甲木·乙木(갑목·을목)는 목소기·활성화

"見木而疏" / "見木不傷" — 기토는 유연한 습토라서 나무(목극토)를 부드럽게 받아들인다. 목은 기토를 소통·개간하는 역할을 한다. 기토의 활성화에 도움을 주는데 무토와 달리 기토는 목에 강하고 유연하게 포용한다. 특히 기토가 너무 습하거나 답답할 때 목의 소통을 필수적이다. 지지 寅(인), 卯(묘)는 목기를 제공한다. 그러나 목이 극도로 많으면 기토도 극(克)을 당하기에 적정량이 핵심이다.

⑤ 辰戌丑未(진술축미)

진술축미는 토의 본거지로 사계토는 기토(己土)의 뿌리·기반이다. 辰(봄토·습토), 戌(가을토·건토), 丑(겨울토·습토), 未(여름토·건토)이다. 기토(己土)가 사계토월생이거나 지지에 있으면 기본 역량이 강해진다. 그러나 토가 너무 많으면 답답하고 목(소통)·금(설기) 필요하다. 戊土(무토)는 동료·보강 역할을 한다. 무토는 기토의 동료(비견). 기토의 약점(독립성 부족) 보완한다. "宜助宜幫" 실현한다. 무토가 기토를 돕고 안정시킨다.

己土(기토) - 음토(陰土)

⑥ 불리한 기운

기토(己土)에게 과다한 水(임계수)는 과습·무기력을 가져 온다. 기토는 수에 강하나, 수가 극도로 많으면 과습·무기력해진다. 기토가 물에 잠기면 진창이 된다. 지지에 亥子丑 중복되고 임계수 많다면 수기가 극과잉된 것으로 해당 명식의 주인공은 우유부단, 방향성 상실 등을 가져 올 수 있다. 수가 너무 많으면 기토(己土)는 진흙탕이 되니 반드시 화(건조) 필수이다.

과다한 木(갑을목)으로 극도의 목극토를 받는 것도 불리하다. 기토(己土)가 목에 강하다하나 목이 극도로 많으면 역시 극(克) 당하기는 피하기 어렵다. 지지에 寅卯辰 중복되고 甲乙木 많다면 목기 극과잉으로 기토의 견고함·안정성은 손상된다. 목이 너무 많으면 기토(己土)도 과도하게 파헤쳐지니 화·토로 보강해야 한다.

과다한 丙丁火(병정화)는 과건조·경화로 기토(己土) 땅이 말라 버린 꼴이다. 화가 적정하면 건조·견실화(吉)이나, 과다하면 기토가 지나치게 건조·단단해져 곡식이 자랄 수 없고 기름진 땅이 황폐한 된 꼴이다. 기토의 유연함·습윤 상실되고 무토처럼 경직된다. 지지에 巳午未가 중복되고 병정화 많다면 화기 과잉이다. 화가 너무 많으면 기토는 메마른 땅이기에 수(윤택)가 꼭 필요하다.

과다한 庚辛金(경신금)은 기토(己土)를 설기하여 무기력하게 만든다. 금이 적정하면 생산(吉)이나, 과다하면 토생금으로 기토 설기 과다이다. 지지에 申酉戌 중복되고 경신금 많으면 금기 과잉으로 생명력이 저하된다.

화(火)의 부족(겨울·수多 상황)도 나쁘다. "火少火晦" — 화가 적으면 습한 기토(己土)가 화를 흡수하여 화가 어두워진다. 기토(己土) 자신도 한랭·과습은 피해야 한다. 특히 겨울생 기토에게 화가 없는 경우에 너무 한랭하고 습하여 생명력이 떨어지고 무기력해 진다. 화 없으면 기토(己土)는 얼어붙은 습지이기에 화(온기)가 있어야 좋다.


⑦ 合(합)·沖(충)·刑(형) 관계

甲己合土(갑기합토)는 중정지합(中正之合)이다. 갑목과 기토(己土)가 만나면 합하여 土(토)로 化한다는 고전적 명제이다. 합화 성립 시에 갑목이 토로 변화, 기토는 토성 강화한다. "中正之合" — 중정(中正)의 합. 갑목(큰 나무)과 기토(전답)가 합하면 땅(土)으로 화합한다. 기토에게는 대체로 유리하고 토성이 강화되며 갑목의 지지를 획득한다. 이 경우 갑목에게는 불리하며 목성 상실되고 토에 묻힌다.

천간에 甲과 己가 함께 있으면 합화 여부를 판단한다. 합화 성립 시에는 기토(己土)의 역량 증강, 안정성이 확보 된다. 신약한 기토가 갑기합토를 하면 매우 유리하고  갑목의 도움으로 보강이 된다. 신강한 기토가 갑기합토를 하면 토 과잉 주의해야 하는데 목·금으로 조절이 필요하다.

辰戌衝·丑未衝(진술충·축미충)은 기토(己土)에게 불리하다. 토의 충(衝)은 기토에게도 불안정 요인이다. 辰戌衝, 丑未衝 발생 시 기토 기반 흔들린다. 

刑(형): 토의 자형(自刑)은 불안정 요인이다.

己土(기토) - 음토(陰土)


4. 용신 지침

① 기토(己土)가 강한 경우(사계토·토多·신강)

사계월(辰戌丑未)생으로 戊己辰戌丑未 많으면 토기 과잉(身强)으로 답답하다. 소통·설기·건조 필요하다.

木(甲乙) — 목소기(木疏己)로 소통·활성화. "見木而疏".

金(庚辛) — 토생금으로 설기·출력. "金多金光".

火(적정) — 화조기(火燥己)로 건조·견실화. "喜火以燥".

水는 소량만 — 습토에 수 과다는 과습.

기토(己土) 신강에 甲木이 적정하면 소통·개간되어 활력·생산성이 좋아진다. 기토 신강에 庚金이 있으면 설기·출력되어 성취·가치 창출된다. 기토 신강에 丙火가 적정하면 건조·견실되어서 안정·성숙된다.

② 기토(己土)가 약한 경우(겨울·목多·수多·신약)

겨울(亥子丑)생 또는 봄(寅卯辰·목왕)생에 甲乙寅卯 많거나 또는 壬癸亥子 많은 경우에는 토기가 쇠약하면 불안정하다. 토기 쇠약(身弱)에 보강과 건조가 필요하다.

火(丙丁) — 화생토로 기토 보강. 온기·건조 제공. "喜火以燥" / "得火而實".

土(戊己·사계토) — 동료·비견으로 토기 증강. "宜助宜幫".

木은 소량만 — 약한 기토에 목 과다는 극(克).

水는 금지 — 약한 기토에 수 과다는 과습·무기력.

金은 신중 — 약한 기토에 금은 설기 부담.

기토(己土) 신약에 丙火·戊土가 있으면 보강·건조·안정되어 성장 가능하다. 기토(己土) 신약에 甲乙木 과다 하여 목극토가 되면 손상·흉격이다. 기토(己土) 신약에 壬癸水 과다하면 무기력해진다.


5.  사례로 쉽게 己土(기토) 이해하기

① 좋은 예 — 길한 조합

기토(己土) + 병화 + 경금 (여름생, 화건조+금출력), 己日주, 여름생(未월)에 天干에 丙·庚이 있고 地支에 巳午未申가 있을 경우이다. 여름(화왕)에 기토(己土) 왕성하나 건조하다. 丙火 — "喜火以燥" 실현. 화로 건조·견실화하였다. 庚金 — "金多金光" 실현. 토생금으로 출력·가치 창출되었다. 地支 巳午未(화기)에 申(금기)가 있어 화·토·금 순환되었다. 결과적으로 견실(기토) + 건조(화) + 생산(금)의 조합으로 성공적인 삶을 살 수 있다.

기토(己土) + 갑목 + 병화 (겨울생, 갑기합토+화온기), 己日주, 겨울생(子월·신약)이고 甲木·丙火 있으며 지지 寅午子가 있을 때이다. 겨울(수왕·한랭)에 기토(己土)가 쇠약·과습하다. 甲木 — 甲己合土로 "中正之合" 실현되고 갑목의 지지로 기토 보강되었다. 丙火 — "喜火以燥" 실현되어 화로 온기·건조되었다. 地支 寅(목기) + 午(화기) + 子(수기)는 목·화·토·수 조화롭다. 한랭·과습한 겨울이지만 갑기합(보강) + 화(온기)로 사주가 안정적으로 되었다.


② 흉한 예 — 불리한 조합

기토(己土) + 수 과다 (겨울생, 과습·무기력), 己日주, 겨울생(子월)에 天干에 壬癸 많고 地支에 亥子丑 중복된 경우이다. 겨울(수왕)에 기토가 본래 한랭·과습한데 壬癸 과다로 수기 극과잉이 되니 기토 과습·무기력하다. 火土 부족하여 온기·건조·보강도 없다. 극도의 과습·무기력한 운명으로 삶의 목표나 방향성이 없다.

기토(己土) + 화 부족 (겨울생, 화소화회), 己日주, 겨울생(亥월)에 火 전혀 없고 水木 많다. 겨울에 불기 화가 없으니 "火少火晦" 실현되어 습한 기토가 한랭·무기력하다. 여기에 水木 많으니 과습·극토 추가되었다. 극도의 한랭·과습·무기력한 사주로 건강도 안 좋고 우울하다. 사주 자체가 "얼어붙은 습지"의 형상이다.

기토(己土) + 목 과다 (봄생, 목극토), 己日주, 봄생(卯월)에 天干에 甲乙 많고 地支에 寅卯辰 중복되었다. 봄(목왕)이니 기토 쇠약하다. 여기에 甲乙 과다하니 목극토 극도로 강하다. 또한 火土 부족하여 보강도 없다. 극도의 신약으로 건강이 악화되고 불안정한 삶을 산다. "과도하게 파헤쳐진 땅" 형상이다.

기토(己土) + 화 과다 (여름생, 과건조), 己日주, 여름생(午월)에 丙丁火 많고 地支에 巳午未 중복된 경우이다. 여름(화왕)에 기토 본래 왕성한데 丙丁 과다로 화기가 극과잉이다. 기토가 너무 건조하여 땅이 경화되었다. 여기에 水木도 부족하니 땅은 마르고 소통도 없다. 극도의 건조·경직한 기토로 "메마른 땅" 형상이니 인생이 팍팍하다.

己土(기토) - 음토(陰土)


6. 기토(己土)의  핵심 명제

기토(己土)의 시간(계절)·주변(간지)·개별성(강약)에 주안점을 두고 종합 판단한다. 

같은 기토(己土)라고 하여도 계절에 따라 다르다. 

겨울생 → 한랭·과습 → 화(온기·건조) 필수이다.

여름생 → 화왕·건조 → 수(윤택) 또는 금(출력) 필요하다.

봄생 → 목왕 → 화(생토)·토(보강) 필요하다.

가을생 → 금왕·설기 → 화(생토)·토(보강) 필요하다.

기토(己土)의 핵심 명제는 바로 이것이다.

"喜火以燥" — 습토에 화(건조·온기) 필수이다.

"不愁木盛, 不畏水狂" — 목·수에 강하고 포용력·적응한다.

"金多金光" — 금을 생하여 수려함·가치 창출한다.

"宜助宜幫" — 도움·보조 필요. 독립성 약하다.

"柔順化育" — 유순하게 만물을 화육. 겸손·협조한다.


사주갤러리 - SajuGallery.com

AD

이 그림은 어떤 운명일까요?

이미지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