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토(戊土)는 십간(十干)의 다섯 번째 천간이다. 무토(戊土)는 '양토(陽土)'로 광활한 대지, 큰 산, 단단한 지반 또는 웅장한 산악 등 강건한 이미지를 상징한다. 무토(戊土)는 넓은 땅 또는 큰 산으로 절정에 다른 양기(陽氣)가 아주 강하고 웅장하게 뻗쳐 나가는 형국이다.
戊土(무토) - 양토(陽土)
1, 고전에서 보는 戊土(무토)
① 적천수(滴天髓)
原文: 戊土固重, 既中且正, 靜翕動闢, 萬物司命, 水潤物生, 火燥物病, 若在艮坤, 怕衝宜靜
戊土(무토)는 단단하여 굳세고 무겁다(戊土固重), 이미 중(中)이요 또한 정(正)이다(既中且正) — 중정(中正)한 대지로 치우치지 않고 견고한다. 본래 오행의 가운데에 위치하여 올바름을 갖추고 있다.
고요하면 거두고 움직이면 펼친다(靜翕動闢), 만물의 사명을 맡는다(萬物司命) — 고요할 때는 만물을 품고(翕·거둠), 움직일 때는 펼쳐서(闢·열림) 생육. 대지의 포용과 생육이 기능한다.
물이 윤택하면 만물이 생하고(水潤物生), 불이 조열하면 만물이 병든다(火燥物病) — 적절한 수분(습윤)은 생장, 과도한 화기(건조)는 해롭다.
만약 간(艮)과 곤(坤)에 있으면(若在艮坤), 충을 두려워하고 고요함이 마땅하다(怕衝宜靜) — 艮(인묘진·동북방)과 坤(신유술·서남방)은 토의 고향이고 충동·변화보다 안정·고요가 유리하다.
주해
戊土(무토)는 고중정(固重正)이니 굳세고 무겁고 중정하며 산, 언덕, 성벽의 형상이다. 만물사명(萬物司命)으로 만물을 싣고 기르는 대지의 역할을 한다. 수윤물생·화조물병(水潤物生·火燥物病)이니 수분 적정이 핵심이다. 물이 필요하나 과하면 불리하고 불은 건조시켜 병들게 한다. 정중동(靜中動)으로 안정과 ·고요를 좋아하고 과도한 충동이나 변화는 불리하다.
② 궁통보감(窮通寶鑑)
原文: 戊土爲陽土, 高厚之土, 有城垣堤岸之象, 其性堅固, 能止水勢, 喜火以生, 賴木以疏, 畏金而泄, 得水而潤
戊土(무토)는 양토(陽土)로 고후(高厚)한 흙이니, 성곽과 제방의 형상이 있다. 그 성질이 견고하여 능히 물의 기세를 막는다(能止水勢). 불을 좋아하여 생하고(喜火以生) 화생토(火生土)로 무토 생성·강화한다. 나무를 힘입어 소통하고(賴木以疏) 목극토이나, 적절한 목은 무토를 소통·개간(땅을 갈아엎음)한다. 금을 두려워하여 설기하고(畏金而泄) 토생금(土生金)으로 무토 기운이 소진된다. 물을 얻어 윤택(得水而潤)하고 적절한 수는 戊土(무토)를 촉촉하게 한다.
주해
戊土(무토)는 산이나 언덕 또는 성벽,제방이라 높고 두터운 대지를 의미한다. 치수(治水) 기능으로 물을 막고 다스리면서 홍수를 방지한다. 화(생)·목(소통)·수(윤)·금(설기) 의 균형이 핵심이다.
③ 자평진전(子平眞詮)
原文: 戊土屬陽, 性剛質實, 爲山岳之土, 鎭靜而不動, 生長萬物, 喜火以暖, 愛水以潤, 木以疏之, 金以泄之
戊土(무토)는 양(陽)에 속하고, 성질이 강(剛)하며 바탕이 실(實)하다. 산악의 흙이니, 진정(鎭靜)하여 움직이지 않으니 안정·부동의 대지이다. 만물을 생장시킨다. 불을 좋아하여 따뜻하게 하고(喜火以暖) 화생토·온기를 제공한다. 물을 사랑하여 윤택하게 하고(愛水以潤) 수분을 공급한다. 나무로 소통시키고(木以疏之) 목극토이나 적절한 목은 개간·소통한다. 금으로 설기한다(金以泄之). 토생금으로 기운을 쏟는다.
주해:
戊土(무토)는 산이나 큰 바위로 진정불동(鎭靜不動)의 상징이다. 화(온기)·수(습윤)·목(소통)·금(설기) 의 조화가 필요하다.
④ 연해자평(淵海子平)
原文: 戊土城垣, 陽燥之土, 非雨不生, 非木不疏, 賴火而實
무토는 성곽이요 양조(陽燥)한 흙이니, 비(雨)가 아니면 생하지 않고(非雨不生) 수분이 있어야 한다. 나무가 아니면 소통되지 않으며(非木不疏) 목으로 개간이 필요하다. 불을 힘입어 견실해진다(賴火而實). 화생토로 단단해진다.
주해
戊土(무토)는 건조(陽燥) 성질로 수분(비·물) 필수이다. 목(소통)·화(견실)·수(생장) 3요소가 중요하다.
2. 戊土(무토)의 형상·성질·계절
형상: 산·언덕·성벽·제방·큰 바위·고원 — 높고 두터운 대지이다.
기토가 전답(田園)이라면, 戊土(무토)는 산악·건축물이다.
성질(기질):
고중정(固重正) — 굳세고 무겁고 중정하다.
진정불동(鎭靜不動) — 안정적이고 움직이지 않고 보수적이며 신중하다.
포용력·담지력 — 만물을 싣고 기르는 대지이다.
방어·보호 — 성벽·제방처럼 물을 막고 보호한다.
건조(陽燥) 성질 → 수분이 필요하다.
계절로 보면 사계절(四季·辰戌丑未) — 토는 사계절 말(月末)에 왕성하다. 특히 辰(봄) 戌(가을) 丑(겨울) 未(여름)이다. 여름(巳午未)에는 화생토로 왕성하나 건조 주의를 해야 한다. 가을(申酉戌)은 금기 설기를 주의한다. 겨울(亥子丑)에는 한랭·습윤. 화(온기) 필요하다. 봄(寅卯辰)에는 목극토로 적절한 목은 소통이나 과다는 손상이다.
핵심 명제: 戊土(무토)는 수분(水潤)이 필수적이다. "水潤物生, 火燥物病"이다. 목(소통) 필요하다. "賴木以疏"이나 단, 과다는 극(克)이다. 화(생토·온기)가 유리하다. "喜火以生, 賴火而實"이다. 금(설기)를 주의한다. 토생금으로 기운이 빠진다. 정중동(靜中動)으로 안정과 고요를 좋아한다."怕衝宜靜"이다.
3. 戊土(무토), 어떤 천간·지지를 만나야 좋은가
① 丙火·丁火(병화·정화) — 화생토·온기
戊土(무토)는 병정화를 맞이하는 것을 반긴다. "喜火以生" / "賴火而實"로 화생토(火生土)로 무토 생성을 강화하고 온기 제공으로 건조한 무토를 따뜻하게 한다. 그러면 무토의 생명력이 커지고 역량도 높아진다. 특히 겨울생 무토는 화(온기) 필수이다. 화는 戊土(무토)를 견실하게 만든다. 지지 에 巳(사), 午(오)는 화기를 준다. 그러나 화가 너무 많으면(火多) "화조물병(火燥物病)"으로 戊土(무토)가 지나치게 건조·균열하게 된다.
② 癸水·壬水(계수·임수) — 수윤물생
戊土(무토)는 습기가 좋다. "水潤物生" / "得水而潤" / "非雨不生"로 물(특히 계수·이슬)은 무토를 촉촉하게 적시고 만물을 성장하게 만든다. 건조한 戊土(무토)에 수분을 공급하면 생기가 돋고 활력이 넘친다. 특히 여름생 무토(건조)에게는 수(습윤) 필수이다. 癸水(이슬)이 최고로 좋다. 壬水(큰 물)는 적정량으로 족하다. 지지에 子(자), 亥(해)는 수기를 주는데 적정량이면 유리하다. 만일 수가 너무 많으면(水多) 戊土(무토)가 유실·붕괴(제방 무너짐)된다. 戊土(무토)의 치수(治水) 기능을 넘어서면 불리하다.
③ 甲木·乙木(갑목·을목) — 목소토·소통
戊土(무토)는 갑을목을 반긴다. "賴木以疏" / "非木不疏"로 나무(목)는 戊土(무토)를 소통·개간. 땅을 갈아엎어 생기를 순환시킨다. 무토의 고정성·경직성을 완화하게 한다. 적절한 목은 무토를 활성화·소통하게 한다. 특히 무토가 너무 굳고 건조할 때 목이 있어야 한다. 지지에 寅(인), 卯(묘)는 목기를 제공한다. 그러나 역시 목이 너무 많으면(木多) 목극토하여 무토가 손상·붕괴된다. 신약한 戊土(무토)에 목 과다는 극한의 불리이다. 목은 적정량이 핵심이니 "소통(疏)"과 "극(克)"의 경계선을 잘 봐야 한다.
④ 辰戌丑未(진술축미) — 토의 본거지
사계토(四季土)는 토의 왕지로 무토의 뿌리·기반이다. 辰(봄토·습토), 戌(가을토·건토), 丑(겨울토·습토), 未(여름토·건토)가 바로 본거지다. 무토가 사계토월생이거나 지지에 있으면 기본 역량이 강하다. 그러나 토가 너무 많으면(土多) 戊土(무토)가 지나치게 되면서 중후·둔중하기에 금(설기)으로 소통하는 것이 필요하다. "怕衝" — 辰戌衝, 丑未衝 발생 시 무토는 불안정하다.
⑤ 적정한 庚金·辛金(경금·신금) — 설기·소통
토생금(土生金)하니 금은 무토의 설기(泄氣) 대상이다. 적절한 금은 무토의 과잉 기운을 적절하게 만든다. 戊土(무토)가 강(신강) 할 때 금으로 설기하면 균형이 잡히고 생산적이다. 금은 무토의 "자식"으로 무토가 금을 생하여 가치를 산출한다. 지지에 申(신), 酉(유)는 금기를 준다. 그러나 금이 과잉이면(金多) 무토가 과도하게 설기되면서 무기력하게 되고 힘이 소진된다. 따라서 신약한 戊土(무토)에 금 과다는 불리하다.
⑥ 불리한 기운
과다한 甲乙木(갑을목)은 戊土(무토)에 치명타를 준다. 목극토로 손상을 불러온다. 목극토(木克土)하면 나무가 흙을 뚫고 들어가 손상을 주는 격이다. 무토의 견고함·안정성이 파괴되고 스트레스와 불안감이 커지고 건강, 사업 모든 것에 있어 악화일로가 된다. 특히 봄생 무토(목왕) + 목 과다는 너무 극한의 극(克)을 받는다. 지지에 寅卯辰 중복되면 목기 과잉으로 무토가 손상된다. 목이 너무 많으면 戊土(무토)는 붕괴된 제방으로 구조적인 파괴와 질병에 시달린다.
과다한 壬癸水(임계수)는 둑을 붕괴시킨다. 물이 적정하면 윤택(水潤物生)이나, 과다하면 戊土(무토)를 유실시킨다. 과다한 물로 무토의 견고함이 깨지고 안정성이 상실된다. 제방 무너짐, 홍수를 맞이하는 격이다. 지지에 亥子丑이 중복되었는데 임계수가 많으면 수기 과잉으로 무토가 붕괴된 형국이다. 수가 너무 많으면 무토는 무너진 둑이다. 둑으로의 기능을 잃는다.
과다한 丙丁火(병정화)는 戊土(무토)를 너무 건조하게 만든다. "화조물병(火燥物病)으로 불이 너무 많으면 무토가 지나치게 건조·균열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무토의 생명력은 저하된다. 특히 여름생 무토(화왕)의 경우에 화가 과다하면 극도의 건조 상태이다. 지지에 巳午未가 중복되면서 병정화가 많다면 화기 과잉으로 무토가 메마르게 된다.
과다한 庚辛金(경신금)은 戊土(무토)를 설기하여 무기력하게 만든다. 토생금(土生金)이니 금이 많으면 무토가 금을 생하느라 기운이 다 빠진다. 결국 과다한 금은 戊土(무토)의 역량을 빼앗고 생명력 을 저하시킨다. 지지에 申酉戌이 중복되었는데 또 경신금이 많다면 금기 과잉으로 무토가 설기 된 꼴이다.
⑦ 지지의 합충관계
辰戌衝·丑未衝(진술충·축미충)은 불길하다. "怕衝宜靜"이라 무토는 안정·고요를 좋아하는데, 토의 충(衝)은 불안정하다.
辰(진)과 戌(술) 동시 존재 → 辰戌衝 발생 → 무토 기반 흔들린다.
丑(축)과 未(미) 동시 존재 → 丑未衝 발생 → 무토 불안정하다.
토의 충은 무토에게 매우 불리하며 안정성이 붕괴되는 격이다.
⑧ 천간의 합·충 관계
戊癸合火(무계합화)는 무정지합(無情之合)이다. 무토와 계수가 만나면 합하여 火(화)로 化한다는 고전적 명제이다. 합화가 성립되면 무토가 화로 변하고 토성(土性·견고·포용)을 잃는다. "無情之合" — 정이 없는 합이니 무토와 계수는 토극수(土克水) 관계라 본래 적대적으로 합해도 정이 적다. 무토에게 대체로 불리한 합으로 토성을 상실하고 화로 변한 꼴이다.
천간에 戊와 癸가 함께 있으면 합화 성립 시에 戊土(무토)의 견고함·안정성이 상실된다. 결국 변화로 인한 불안정이 따른다. 신약한 무토가 무계합화를 하면 극도로 불리하고 본성을 완전히 상실한다. 신강한 무토라도 무계합화하면 일부 변화가 따르고 유연성을 얻을지라도 여전히 손실이다.
辰戌衝(진술충): 辰(습토)과 戌(건토)의 정면 충돌하면 戊土(무토)의 기반이 흔들린다. "怕衝宜靜"의 경고이다. 丑未衝(축미충)하면 丑(습토)과 未(건토)의 충돌로 戊土(무토)가 불안정하다.
刑(형): 辰辰自刑, 戌戌自刑 등 토의 자형(自刑)도 불안정하다.
4. 용신 지침
① 戊土(무토)가 강한 경우(사계토·토多·신강)
사계월(辰戌丑未)생 + 戊己辰戌丑未 많으면 토기 과잉(身强)으로 과도하게 중후·둔중·경직하기에 소통과 설기가 필요하다.
木(甲乙) — 목소토(木疏土)로 소통·활성화. "賴木以疏". 적정량이 핵심이다.
金(庚辛) — 토생금으로 설기·출력. 과잉 토기를 소비하여 균형을 잡아야 한다.
水(적정) — 수윤토(水潤土)로 윤택. 과다는 금지이다.
火는 적당히 — 신강한 무토에 화 과다는 생토(生土) 과잉 → 더 강해진다.
무토 신강한데 甲木이 적정하면 소통·개간하는 격이라 활력과 생산성이 좋다. 무토 신강하고 庚金이 있다면 설기가 되어서 성취와 가치 창출을 한다.
② 戊土(무토)가 약한 경우(겨울·목多·신약)
겨울(亥子丑)생 또는 봄(寅卯辰·목왕)생이고 甲乙寅卯 많다면 토기 쇠약(身弱)이다. 따라서 보강이 필요하다.
火(丙丁) — 화생토로 무토 보강하여 온기를 제공한다. "喜火以生"이다.
土(戊己·사계토) — 동료·비견으로 토기를 증강한다.
木은 금지 — 약한 무토에 목 과다는 목극토라 손상·붕괴된다.
水는 소량만 — 적정량으로 윤택, 과다는 유실이다.
金은 신중 — 약한 무토에 금은 설기가 부담된다.
무토 신약인데 丙火·戊土가 되면 보강이 되어 안정을 찾고 성장도 가능하다. 그러나 무토 신약 으로 甲乙木이 너무 과다하면 목극토가 되어 손상을 입고 흉격이 된다.
5. 사례로 쉽게 戊土(무토) 이해하기
① 좋은 예 — 길한 조합
戊土(무토) + 병화 + 계수 (여름생, 화생토+수윤)일 경우이다. 戊日주, 여름생(未월)이 天干에 丙·癸 가 있고 地支에 巳午未子가 있을 때, 丙火는 화생토로 무토를 강화하고 癸水는 "水潤物生"를 이룬다. 건조한 무토를 적시니 생기가 돌고 地支 巳午未(화기)가 子(수기)와 잘 조화되니 화·토·수가 균형적으로 도움을 준 격이다. 따라서 견고함(무토) + 온기(화) + 습윤(수) = 만물 생장이니 좋은 명식이 된다.
戊土(무토) + 갑목 + 병화 (겨울생, 화생토+목소통), 戊日주, 겨울생(丑월·신약)으로 甲木·丙火 적정하고 지지에 寅午丑이 있을 경우이다. 겨울(수왕·한랭)이라 무토가 쇠약하나 丙火로 "喜火以生" 실현되었다. 화생토로 무토가 보강되니 온기를 찾는다. 甲木은 "賴木以疏"을 실현하니 적정량의 목으로 소통이 활성화되었다. 地支 寅(목기) + 午(화기) + 丑(토기)로 목·화·토 순환되니 안정적인 삶이다.
戊土(무토) + 경금 (신강한 무토, 설기·출력), 戊日주, 사계토월생(辰월·신강)이 庚金이 있고 지지에 辰申子가 있을 때이다. 사계토월이라 무토가 왕성(신강)하다. 庚金은 토생금으로 설기·출력하여서 과잉 토기를 소비하여 조화롭게 한다. 여기에 子(수기)가 적정 수분으로 윤택하게 하니 강한 무토가 금을 생산하니 성취력이 높아지고 재물과 명예를 얻는 격이다.
② 흉한 예 — 불리한 조합
戊土(무토)에 목이 과다 (봄생, 목극토) 한 경우이다. 戊日주, 봄생(卯월)이 天干에 甲乙이 많은데 地支에 또 寅卯辰이 중복된 때이다. 봄(목왕)이라 본디 무토가 쇠약할 수 밖에 없다. 여기에 甲乙 과다이니 목극토로 무토가 손상되고 붕괴된 형국이다. 火土 부족이면서 보강도 없으니 불안정하고 사업이나 재물에 있어 손실이 막대하다. 그냥 인생에서 큰 둑이 무너진 것이다.
戊土(무토)가 수 과다 (겨울생, 수극토·유실), 戊日주, 겨울생(子월)이 天干에 壬癸 많고 地支에 亥子丑 중복된 경우이다. 겨울(수왕)은 무토가 본래 한랭하고 부실하다. 여기에 壬癸 과다하니 수극토(간접)하여 둑이 유실되고 붕괴된 꼴이다. 여기에 火木도 부족하니 온기나 보강도 없다. 결국 이것도 둑이 무너진 형국이다. 둑이 무너지면 망한 것이다.
戊土(무토)에 화 과다 (여름생, 화조물병), 戊日주, 여름생(午월)이 丙丁火가 많은데 地支에 巳午未戌 중복된 때이다. 여름(화왕)에는 무토가 본래 왕성하나 건조하다. 이때 丙丁이 과다하면 "火燥物病"로 무토가 극도로 메마르고 균열이 온다. 水木이 부족하니 소통도 안되고 땅이 깡마른다. 결국 고립무원이 되어서 관계가 단절되고 고독하고 쓸쓸한 삶을 연명하게 된다.
戊土(무토)가 진술충 (辰戌衝) 될 때이다. 戊日주가 지지에 辰戌 동시에 존재하면 辰戌衝이 된다. 辰(습토)과 戌(건토) 정면 충돌로 "怕衝宜靜"에 위배된다. 戊土(무토)의 기반이 파괴되면서 주거나 직업이 불안정하게 된다.
戊土(무토)가 무계합화 (신약한 무토, 본성 상실), 戊日주, 겨울생(亥월·신약)으로 癸水가 많은데 戊癸合火 성립된 경우이다. 겨울에 신약한 戊土(무토)가 癸水 과다하고 여기에 합화하여 무토가 화로 化 하면 완전히 토성을 잃는다. 신약한 戊土(무토)가 합화로 더욱 약화되었으니 자아 정체성을 잃은 격이다. 결국은 자신을 잃은 또라이가 되어서 우유부단하고 건강이나 사업 모두 망치게 된다.
6. 戊土(무토)의 핵심 명제
戊土(무토)의 시간(계절)과 주변(간지) 및 개별성(강약)을 잘 보고 종합 판단하여야 한다.
아무리 같은 戊土(무토)라고 하여도 계절에 따라 필요한 것이 다르다.
여름생 → 건조(화왕) → 수(윤택) 필수이다.
겨울생 → 한랭·약함 → 화(온기)·토(보강) 필요하다.
봄생 → 목왕·극토 → 화(생토)·토(보강) 필요하다.
가을생 → 금왕·설기 → 화(생토)·토(보강) 필요하다.
戊土(무토)의 핵심 명제는 바로 이것이다.
"水潤物生, 火燥物病" — 수분 적정이 핵심. 물 필요하나 과하면 유실된다.
"賴木以疏" — 적절한 목은 소통, 과다는 극(克)한다.
"喜火以生" — 화생토로 보강·온기하면 좋다.
"怕衝宜靜" — 안정·고요를 좋아함. 충동·변화 불리하다.
"能止水勢" — 치수(治水) 기능. 물을 막고 다스린다.
사주갤러리 - SajuGallery.com
%20-%20%EC%96%91%ED%86%A0(%E9%99%BD%E5%9C%9F)%202.jpg)
%20-%20%EC%96%91%ED%86%A0(%E9%99%BD%E5%9C%9F)%204.jpg)
%20-%20%EC%96%91%ED%86%A0(%E9%99%BD%E5%9C%9F)%203.jpg)
%20-%20%EC%96%91%ED%86%A0(%E9%99%BD%E5%9C%9F)%205.jpg)
%20-%20%EC%96%91%ED%86%A0(%E9%99%BD%E5%9C%9F)%20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