壬水(임수) - 양수(陽水)

 임수(壬水)는 천간(十天干) 중 아홉 번째로 수(水)의 양기(陽氣)를 대표한다. 임수(壬水)는 바다와 같은 포용력 있는 물의 정기(精氣)이고, 그 근원이 깊고도 멀며 천지만물을 자라게 하는 왕양한 에너지이다. 壬水(임수)는 큰 바다나 대하(大河)와 같은 크고 역동적인 물을 상징한다.


壬水(임수) - 양수(陽水)

1.  고전으로 보는 壬水(임수) 

① 적천수(滴天髓)

原文: 壬水通河, 能泄金氣, 剛中之德, 周流不滯, 通根透癸, 衝天奔地, 化則有情, 從則相濟

壬水(임수)는 강하(江河)에 통하니(壬水通河), 능히 금기(金氣)를 설(泄)한다(能泄金氣) — 큰 강·바다의 물. 금생수(金生水)로 금(金)의 기운을 받아 흐른다.

강중(剛中)의 덕이 있어(剛中之德), 주류(周流)하되 막히지 않는다(不滯) — 강하면서도 중용의 덕. 두루 흐르되 막힘 없다.

뿌리가 통하고 계수가 투출하면(通根透癸), 하늘을 충격하고 땅을 달린다(衝天奔地) — 지지에 亥子 등 수의 뿌리가 있고 천간에 계수(癸水)가 드러나면, 임수의 기세가 극도로 강해져 하늘과 땅을 휩쓸 듯 흐름. 홍수·거대한 물줄기이다.

화(化)하면 정이 있고(化則有情), 종(從)하면 서로 돕는다(從則相濟) — 다른 오행과 합화하면 정이 생기고, 따르면(從格) 서로 조화·도움이 된다.

壬水(임수) - 양수(陽水)

주해

壬水通河(임수통하) 임수는 큰 강으로 흐르는 광활한 물과 같다. 

能洩金氣(능설금기) 강한 금 기운을 능히 흘려보낼 수 있고, (剛中之德)강중지덕 강하지만 덕 또한 갖추고 있으며, 周流不滯(주류불체)  유연하게 흘러 막히지 않는다. 

通根透癸(통근투계) 지지에 뿌리를 내려서 천간에 계수가 투출되었다면, 沖天奔地( 충천분지) 세가 극도로 강하여 위로는 하늘을 뚫고 아래로는 땅을 달린다. 

化則有情(화즉유정) 정화로 합을 하면 정이 생겨나고, 從則相濟(종즉상제) 기세가 약해 종을 해도 서로 구제하여 해가 없다.  


② 궁통보감(窮通寶鑑)

原文: 壬水乃陽水, 江河湖海之水, 其性浩蕩, 奔流不息, 能潤萬物, 賴戊土以堤防, 喜庚金以發源, 得甲木以疏通

壬水(임수)는 양수(陽水)이니 강하호해(江河湖海)의 물이다. 그 성질이 호탕(浩蕩)하여 분류(奔流)하되 쉬지 않는다. 광활하고 거침없이 흐른다. 능히 만물을 윤택하게 한다(能潤萬物). 무토를 힘입어 제방을 만들고(賴戊土以堤防) 무토(큰 흙·언덕)로 물을 막아 조절·안정하게 만든다. 경금을 좋아하여 발원하고(喜庚金以發源) 경금(금속)이 임수를 생(金生水)하여 수원을 제공한다. 갑목을 얻어 소통한다(得甲木以疏通) 갑목(큰 나무)으로 물길을 내고 유통한다.

주해

壬水(임수)는 강·바다·호수이고 광대하고 거침없는 물이다. 무토(제방)·경금(발원)·갑목(소통) 필요하다. 즉 임수는 조절·생성·유통이 중요하다.


③ 자평진전(子平眞詮)

原文: 壬水屬陽, 性動而流, 爲江河之水, 汪洋浩瀚, 周流不息, 賴土堤岸, 宜有歸宿, 金爲水源, 木爲水用

壬水(임수)는 양(陽)에 속하고, 성질이 동(動)하여 흐른다(流). 강하(江河)의 물이니, 광대하고(汪洋浩瀚) 주류하되 쉬지 않는다(周流不息). 토의 제방을 힘입고(賴土堤岸), 마땅히 귀숙(歸宿)이 있어야 한다. 흐름의 목적지·방향성 필요하다. 금이 수원(水源)이고, 금생수로 물의 근원이다. 목이 수용(水用)이다. 목이 물을 이용·유통한다.

주해

壬水(임수)는 동·류(動·流), 즉 움직이고 흐르는 것이 본성이다. 토(제방)·귀숙(목적지) 필요, 방향성·조절해야 한다. 금(수원)·목(수용)으로 생성과 이용을 해야 한다.


④ 연해자평(淵海子平)

原文: 壬水爲江河之水, 汪洋浩瀚, 周流不息, 賴土堤岸, 宜有歸宿, 喜金發源, 愛木疏導

壬水(임수)는 강하의 물이니, 광대하고 광활하여(汪洋浩瀚) 주류하되 쉬지 않는다. 토의 제방을 힘입고, 마땅히 귀숙이 있어야 한다. 금을 좋아하여 발원하고 금생수한다. 목을 사랑하여 소통·인도한다. 목으로 물길 유통한다.

주해

壬水(임수)는 주류불식(周流不息)이고 제방(토)로 귀숙(방향성)한다.

壬水(임수) - 양수(陽水)


2. 壬水(임수)의 형상·성질·계절(요약)

형상: 강·바다·호수·큰 물줄기·폭포·운하 — 광대하고 거침없는 대수(大水)이다.

계수가 이슬·샘물이라면, 壬水(임수)는 강·바다이다.

성질(기질):

호탕·광활·거침없음 — 크고 넓으며 막힘 없이 흐른다.

유연·적응 — 물처럼 형태를 바꾸며 흐름. 환경 적응력이 있다.

운반·순환 — 만물을 싣고 운반하며 순환시킨다.

지혜·전략 — 물은 낮은 곳으로 흐르며 장애물을 피함. 지혜·전략·유연성이 있다.

정의감·공정 — 물은 평등하게 흐름. 차별 없다.

강중지덕(剛中之德) — 강하나 중용. 부드러우나 강하다.

계절로 보면 壬水(임수)가 겨울(亥子丑)이면 왕성하다. 특히 子(자)월은 계수의 녹지이나 임수에게도 왕지. 수기 최왕이다. 봄 목기 왕성할 때 임수는 수생목(水生木)으로 목을 생하며 유통. 유리하다. 여름 화기 왕성할 때 임수는 수극화(水克火) 또는 화가 수를 증발하여 조후(調候) 역할 중요하다. 가을에 임수는 금기 왕성으로 금생수(金生水)로 임수 생성·강화. 유리하다.

핵심 명제:

壬水(임수)는 무토(제방) 필수 — "賴戊土以堤防". 조절·방향성.

경금(발원) 유리 — "喜庚金以發源". 금생수로 수원.

갑목(소통) 필요 — "得甲木以疏通". 물길 유통.

귀숙(歸宿) 필요 — 흐름의 목적지·방향성.

통근투계 주의 — 수기 과다(亥子 + 癸) = 홍수·범람.

壬水(임수) - 양수(陽水)


3. 壬水(임수)는 어떤 천간·지지를 만나야 좋은가

① 戊土(무토) — 최고의 제방·조절

"賴戊土以堤防"로 무토(산·언덕·제방)는 임수를 막고 조절하여 방향성·안정성 제공. 壬水(임수)에게 무토가 최고이다. 무토는 壬水(임수)의 거침없는 흐름을 제방으로 막아 홍수 방지·방향 제시한다. 토극수(土克水)이나, 적절한 무토는 임수를 조절·안정시켜 유익하다. 임수(지혜·유연) + 무토(안정·원칙) = 안정과 조화를 찾는다. 지지에 辰(진), 戌(술)은 토기 제공. 제방 역할을 한다. 그러나 무토가 너무 많으면 壬水(임수)를 막아 흐름 저해하여 불리하기도 하다. 제방은 필요하나 과도한 댐은 물을 막는다.

② 庚金(경금) — 발원·수원 제공

"喜庚金以發源"로 경금은 壬水(임수)를 생(金生水)하여 수원·근원 제공한다. 경금은 임수의 수원·생명력 증강한다. 금생수로 임수가 끊임없이 흐를 수 있게 한다. 경금(강건·의협) + 임수(지혜·유연) = 강함과 지혜 조화를 이룬다. 지지에 申(신)은 경금의 녹지로 임수의 장생지(長生地)이기도 하다. 임수 + 경금 = 금생수의 이상적 조합. 수원 충분하다.

③甲木(갑목) — 소통·유통

"得甲木以疏通"으로 갑목(큰 나무)은 壬水(임수)를 소통·유통시킨다. 수생목(水生木)이다. 임수가 갑목을 생하며 물길을 내고 유통하여 강이 숲을 적시고 흐르게 만든다. 임수의 과잉 수기를 갑목이 흡수·소비하여 균형을 찾는다. 임수(지혜) + 갑목(성장·개척) = 지혜와 성장 조화를 뜻한다. 지지 寅(인)은 갑목의 녹지이다. 그렇지만 목도 너무 많으면 壬水(임수)가 과도하게 소비된다.

④ 子(자) — 임수·계수의 왕지

子는 수기 왕성한 지지로 壬水(임수)에게 수기·역량 제공한다. 임수가 子월(음력 11월)생이거나 지지에 子가 있으면 기본 수기 강하다. 子가 많거나 亥子 중복하면 수기 과다 → 홍수. 무토(제방) 필수이다.

⑤ 亥(해) — 수기 제공·임수의 녹지

亥는 壬水(임수)의 祿地(녹지)로 권위·왕성함의 자리이다. 壬水(임수)의 수기 증강이다. 亥가 많으면 수기 과다하여 홍수가 난 꼴이다.

⑥ 申子辰 삼합수국 (신약한 임수에게)

申(금)·子(수)·辰(토·수의 창고)이 합하면 水局(수국) 형성 → 수기 극대화 된다. 壬水(임수)가 약(신약) 한 경우 수국으로 보강, 유리하다. 壬水(임수)가 강(신강) 한 경우 → 수국으로 홍수, 불리. 무토(제방) 필수이다.

⑦ 적정한 丙火(병화) — 조후·수화기제

병화(태양)와 임수(강)가 만나면 水火旣濟(수화기제)로 최고의 조화를 이룬다. 여름·더울 때 임수는 조후(調候·냉각) 역할을 한다. 겨울·추울 때 병화는 임수를 온난화를 가져 온다. 수화기제 = 음양 조화 = 큰 성취를 이룬다. 지지에 午(오), 巳(사)가 있으면 화기를 제공한다. 그러나 역시 화가 너무 많으면 壬水(임수)는 증발·소멸된다. 

壬水(임수) - 양수(陽水)

⑧ 불리한 기운

과다한 戊己土(무기토)는 토극수로 막히게 만든다. 토는 적정하면 제방(吉)이나, 과다하면 토극수(土克水)로 壬水(임수)가 막히고 흐름이 저해된다. 임수의 주류불식(周流不息) 본성 상실 → 막힘·정체를 불러 온다. 답답함·억압·방향성을 잃는다. 지지에 辰戌丑未 중복 + 戊己土 많다면 토기 과잉이다. 토가 너무 많으면 壬水(임수)는 막힌 강으로 흐르지 못하고 정체하여 마침내 물도 썩는다.

과다한 亥子 수기 지지 + 癸水는 통근투계로 홍수이다. "通根透癸, 衝天奔地" 지지에 亥子(수의 뿌리) 많고 천간에 癸(계수)까지 있으면 수기 극도로 왕성하여 홍수로 범람한 꼴이다. 임수의 기세가 너무 강해져 제어 불가하여 파괴적이다. 충동적·극단적 결과를 가져 온다. 무토(제방) 없으면 재앙이다. 지지 亥子丑 중복이 되고 壬癸 많다면 수기 극과잉이다. 수가 너무 많으면 임수는 홍수·범람으로 파괴·손실·재난을 불러온다.

과다한 甲乙木(갑을목)은 수다목표로 과도한 설기이다. 목은 적정하면 소통(吉)이나, 과다하면 수생목(水生木)으로 임수 설기 과다하여 수 기운이 소진된다. 임수가 목을 생하느라 기운이 다 빠진다. 무기력·과로·헌신하나 보상 없는 꼴이다. 지지 寅卯辰 중복되고 甲乙木 많으면 목기 과잉이다. 목이 너무 많으면 壬水(임수)는 고갈된 강으로 물이 다 빠져나간 형상이다.

과다한 丙丁火(병정화)는 화증발수·건조이다. 화는 적정하면 수화기제(吉)이나, 과다하면 화가 수를 증발시켜 임수가 소멸된다. 임수의 수기·생명력 증발·건조이다. 번아웃·소진·건강 악화가 따른다. 지지에 巳午未 중복되고 丙丁火 많으면 화기 과잉이다. 화가 너무 많으면 壬水(임수)는 증발된 물이고 말라붙은 꼴이다.

己土(기토) 과다는 습토의 흡수이다. 기토(습토·전답)는 임수를 흡수·머금는다. 과다하면 壬水(임수)가 진흙탕에 갇힌 셈이다. 임수의 청정함·흐름 상실하고 탁함·정체로 이어진다. 답답함·흐름이다.

午(오)는 수화상쟁이다. 午(화)는 수기와 대립한다. 子午衝(자오충) 발생 시 수화상쟁(水火相爭)으로 壬水(임수)의 안정성 파괴하고 심한 갈등·손상을 불러온다.

⑨ 合(합)·沖(충)·刑(형) 관계

丁壬合木(정임합목)은 陰陽之合(음양지합)이다. 정화와 임수가 만나면 합하여 木(목)으로 化한다는 고전적 명제이다. 합화 성립 시에 정화·임수 모두 목으로 변화해서 화성·수성 모두 상실된다. "陰陽之合" — 음(정화)과 양(임수)의 합. 수화의 조화이나 본성 상실된다. 긍정적이라면 "化則有情" 합화하여 정이 생겨서  유연성·협조성 증가한다. 부정적으로 되면 壬水(임수)의 본성(지혜·흐름) 상실하고 목으로 변한다.

천간에 丁과 壬이 함께 있으면 합화 여부 판단 필수이다. 신강한 임수가 정임합을 하면 유연성·협조로 길로 유리하나, 신약한 임수가 정임합을 하면 본성 상실·약화로 불리해진다.

子午衝(자오충): 子(수)와 午(화) 충돌 → 수화상쟁. 임수에게 매우 불안정하다.

巳亥衝(사해충): 巳(화)와 亥(수) 충돌 → 수화 갈등. 임수에게 불리하다.

寅巳申 삼형(인사신삼형): 형(刑)으로 불안정하다.

壬水(임수) - 양수(陽水)


4. 용신 지침

① 壬水(임수)가 강한 경우(겨울·수多·신강)

겨울(亥子丑)생이고 壬癸亥子 많으며 申子辰 수국이 되면 수기 과잉(身强)이다. 과도하게 수기가 강하여 홍수·범람의 위험이 따르기에 제방·조절 필요하다.

土(戊土 우선) — 토극수로 제방·조절. 무토(제방) 최고. "賴戊土以堤防".이다.

木(甲木) — 수생목으로 설기·소통. "得甲木以疏通". 과잉 수기 소비한다.

火(丙火 적정) — 수화기제. 조후·균형. 과다는 금지이다.

金은 금지 — 신강한 임수에 금생수는 더 강해진다.

壬水(임수) 신강에 戊土는 제방·조절 효과로 안정·방향성을 찾는다. 壬水(임수) 신강에 甲木은 소통·설기가 된다. 壬水(임수) 신강에 丙火(적정)는 수화기제로 큰 성취·균형을 이룬다. 

② 壬水(임수)가 약한 경우(여름·화多·신약)

여름(巳午未)생이고 丙丁巳午 많으면 수기 쇠약·증발(身弱)한다. 의지 박약·건조·무기력하여 보강이 필요하다.

金(庚辛) — 금생수로 보강. 경금(발원) 최고. "喜庚金以發源"이다.

水(壬癸·亥子) — 동료·비견으로 수기 증강한다.

火는 금지 — 약한 임수에 화 과다는 증발·소멸된다.

土는 신중 — 약한 임수에 토는 막힘·억압한다.

木은 적정 — 약한 임수에 목 과다는 설기를 너무 하게 만든다.

壬水(임수) 신약에 庚金·壬水는 보강·안정이고 성장을 가능하게 만든다. 그러나 壬水(임수) 신약에 丙丁火 과다는 물을 증발·소멸시키는 흉격이다.


5. 사례로 쉽게 壬水(임수) 이해하기

① 좋은 예 — 길한 조합

壬水(임수) + 무토 + 경금 (겨울생, 제방+발원), 壬日주, 겨울생(子월·신강)이 天干에 戊·庚이 있고 地支에 子申辰이 있을 경우이다. 겨울(수왕)에 임수 극도로 왕성(신강)하다. 여기서 戊土는 "賴戊土以堤防" 실현하여 무토로 제방·조절로 방향성·안정성을 찾는다. 庚金은 "喜庚金以發源"을 실현한다. 경금으로 수원·발원하여 지속적 흐름을 가져 온다. 地支 子(수기)에 申(금기·임수의 장생)과 辰(토기·수의 창고)는 수·금·토 완벽 조화를 이룬다. 강함(임수) + 제방(무토) + 수원(경금) = 거대하나 조절된 강의 모습이다. 

壬水(임수) + 갑목 + 병화 (적정 구성, 소통+수화기제), 壬日주, 가을생(申월)이 甲木·丙火 적정하고 지지에 申寅午을 두었다. 가을(금왕)에 임수 생수되어 왕성하다. 甲木은 "得甲木以疏通"이다. 갑목으로 소통·유통한다. 丙火는 수화기제로 음양 조화·균형을 이룬다. 地支 申(금기·임수 장생) 에 寅(목기)와 午(화기)는 금·수·목·화를 순환시킨다. 소통(갑목) + 조화(병화) = 지혜와 성장을 가져온다.

壬水(임수) + 경금 + 무토 (여름생, 생수+제방), 壬日주, 여름생(午월·신약)이 庚金·戊土 있고 지지 巳午申辰가 있다. 여름(화왕)하여 임수가 본래 증발할 위기가 따르나, 庚金 금생수로 임수 보강하여 수원을 제공하고 戊土 제방으로 안정·방향성을 찾으면서 地支 巳午(화기) + 申(금기) + 辰(토기)로 화·금·토·수 순환한다. 생수(경금) + 제방(무토) = 여름의 불리함 극복하고 안정을 찾는다.


② 흉한 예 — 불리한 조합

壬水(임수) + 수 과다 (겨울생, 통근투계·홍수), 壬日주, 겨울생(子월)이 天干에 壬癸 많은데 地支에 亥子丑 중복된 경우이다. 겨울(수왕)에 임수는 본래 극왕하다. 壬癸 과다에 亥子가 중복되니 "通根透癸, 衝天奔地"이다. 수기 극과잉으로 홍수가 나고 범람된 꼴이다. 土(제방)가 전혀 없으니 제어도 안된다. 살면서 사업이나 재물이나 관계 모두 유실된 "범람하는 강" 형상이다. 인생이 뭐 다 떠내려갔습니다.

壬水(임수) + 토 과다 (막힘·정체), 壬日주, 戊己土 많은데 地支에 辰戌丑未 중복된 때이다. 戊己 과다 로 토극수되어서 임수가 막히고 흐름이 멈췄다. 토 지지 중복으로 임수가 흐르지 못하고 정체된 형국이다. 金水 부족으로 생수·보강도 없어, 극도의 막힘과 정체가 삶에서 보입니다. 인생이 꽉 막힌 강이나 다름없습니다.

壬水(임수) + 화 과다 (여름생, 증발), 壬日주, 여름생(午월)이 天干에 丙丁 많고 地支에 巳午未 중복되었다. 여름(화왕)에 임수는 본래 증발할  우려가 크다. 丙丁 과다는 화가 수를 증발·건조시킨다. 金水 부족으로 생수·보강 없다. 극도의 증발·건조·소멸로 건강이 나쁘게 된다. 건강이 극도로 악화되는데 번아웃 또는 과로사 위험도 있다. 인생이 "증발된 물"의 형상으로 무기력한 삶을 산다.

壬水(임수) + 목 과다 (수다목표·고갈), 壬日주, 봄생(卯월)이 天干에 甲乙 많고 地支에 寅卯辰 중복되었다. 봄(목왕)에 목기 극과잉인데, 甲乙 과다로 수생목으로 임수가 과다 설기되어 기운이 고갈된 형국이다. 金水 부족으로 생수·보강 하지 못하니 극도의 설기로 무기력하다. 나는 헌신하나  얻는 것이 없다. 인생이 뭐 열심히 산 것 같지만 아무 것도 없는 "고갈 된 강"의 모습이다.

壬水(임수) + 정임합 (신약한 임수, 본성 상실), 壬日주, 여름생(午월·신약)이 丁火 많고 丁壬合木 성립되었다. 여름에 신약한데 임수 쇠약하다. 丁火 과다로 합화되어 임수가 목으로 化하여 수성(지혜·흐름) 완전 상실하였다. 신약한 임수가 합화로 더욱 약화된 꼴이니, 자신의 정체성을 상실한 것이다. 본래 가치를 잃고 "목으로 변한 물" 형상이니 제 정신으로 사는 것이 아니다.

壬水(임수) - 양수(陽水)


6. 壬水(임수)의 핵심 명제

같은 壬水(임수)라도 시간(계절)·주변(간지)·개별성(강약)을 종합 판단해야 합니다.

겨울생 → 극왕(신강) → 토(제방)·목(소통) 필수이다.

여름생 → 화왕·증발·약함 → 금(생수)·수(보강) 필수이다.

봄생 → 목왕·설기 → 금(생수)·토(제방) 필요하다.

가을생 → 금왕·생수 → 토(제방)·목(소통) 필요하다.

壬水(임수) 의 핵심 명제는 바로 이것이다.

"賴戊土以堤防" — 무토로 제방·조절. 방향성·안정성 필수이다.

"喜庚金以發源" — 경금으로 발원·수원 제공해야 한다.

"得甲木以疏通" — 갑목으로 소통·유통한다.

"通根透癸, 衝天奔地" — 수기 과다(亥子 + 癸) = 홍수·범람. 주의해야 한다.

"周流不滯" — 흐르고 막히지 않는 것이 본성이기에 정체는 불리하다.

"剛中之德" — 강하나 중용으로 유연하게 흐른다.


사주갤러리 - SajuGallery.com

AD

이 그림은 어떤 운명일까요?

이미지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