丙火(병화) - 양화(陽火)

 병화(丙火)는 천간(天干)의 세 번째 화(火)이며 양화(陽火)로, 태양이나 큰 불꽃에 비유되는 매우 강렬한 오행으로 군왕지화(君王之火)이다. 병화맹열(丙火猛烈)로 병화는 화기가 매우 뜨겁고 세차다. 병화(丙火) 4월은 '에너지가 강하게 상승하는 시기'로 양중양(陽中陽)이다.


丙火(병화) - 양화(陽火)

1. 고전에서 보는 丙火(병화) 

① 적천수(滴天髓)

原文: 丙火猛烈, 欺霜侮雪, 能煆庚金, 逢辛反怯, 土眾成慈, 水猖顯威, 虎馬犬鄕, 甲來焚滅

丙火(병화)는 맹렬하여(丙火猛烈), 서리를 업신여기고 눈도 우습게여긴다(欺霜侮雪) — 태양과 같은 강렬한 화기로 추위·어둠을 녹이고 밝힌다. 어떤 장애물도 두려워하지 않는 기상이다. 능히 경금을 단련하나(能煆庚金), 신금을 만나면 도리어 겁먹는다(逢辛反怯) 경금(강철)은 병화의 용광로에서 제련되어 명검이 되지만, 신금(보석·귀금속)을 만나면 丙火(병화)가 오히려 약해지거나(신금이 병화를 설기함) 합화(丙辛合水)하여 본성을 잃는다.

토(土)가 많으면 자애로움을 이루고(土眾成慈), 수(水)가 창궐하여도 위세를 드러낸다(水猖顯威) — 토가 많으면 병화가 설기(泄氣)되어 온화해지고(자애), 물이 많으면 오히려 수화상쟁(水火相爭)으로 강렬한 대결·위세를 만든다.

지지가 인오술 화국을 이룰 때(虎馬犬鄕 = 寅午戌 삼합화국), 천간에 갑목이 투출하면 불타 없어진다(甲來焚滅) — 화기가 극도로 왕성한 상황(寅午戌 화국)에서 갑목(큰 나무)이 오면 목생화(木生火)로 화염이 너무 치열해져 결국 나무도 타고(焚) 화도 소진(滅)된다. 

丙火(병화) - 양화(陽火)

주해

丙火(병화)는 맹렬·광명·정대 — 태양처럼 모든 것을 밝히고 태우는 순양(純陽)의 기운이다. 경금을 단련(제련·성취)하는 것이 병화(丙火)의 최고 작용으로 금속을 녹여 기물을 만든 것과 같다. 다만 신금과의 관계는 복잡하여 합화(丙辛合水)하면 병화의 본성(화)을 상실하고 불리하다. 토 과다는 설기하여 힘이 소진되고, 수 과다는 대결(수화상쟁)하기에 균형이 핵심이다. 화국(寅午戌)이 이루어지면 아무리 큰 갑목(甲木)이라도 과열로 견디지 못하니 너무 강한 화(火)는 오히려 소진·파괴된다.


② 궁통보감(窮通寶鑑)

原文: 丙火乃純陽之火, 其性猛烈, 欺霜侮雪, 有太陽之象, 普照萬物, 發輝於宇宙, 生於冬則喜木, 生於夏則喜水, 四季皆宜通根, 不宜藏晦

丙火(병화)는 순양(純陽)의 불로 그 성질이 맹렬하다. 서리와 눈을 업신여기며, 태양의 형상이 있어 만물을 두루 비추고(普照萬物), 우주에 빛을 발한다(發輝於宇宙).

겨울에 태어나면 목(木)을 좋아하고 한랭한 겨울에는 목생화(木生火)로 화력 보강이 필요하다. 여름에 태어나면 수(水)를 좋아하는데 과열된 여름에는 수로 조후(調候·온도 조절) 필요하기 때문이다. 사계절 모두 통근(通根)이 마땅하고 지지에 뿌리(寅巳午未 등 화·목기 지지)가 있어야 안정된다.

숨기거나 어두워지는 것(藏晦)은 마땅치 않다. 丙火(병화)는 밝게 드러나야 하며, 묻히거나(토 과다) 꺼지면(수 과다) 본성 발휘 불가하다.

주해

병화(丙火)는 태양으로 광명·정대·보편성 등을 갖추고 모든 것을 비추며 따뜻하게 한다. 

병화(丙火)는 계절별 용신이 명확해야 한다. 겨울생 → 木(땔감) 필요, 여름생 → 水(냉각) 필요, 통근(通根) 중요, 지지에 화·목기 없으면 병화(丙火)가 허약·불안정하다. 병화(丙火)는 드러남과 밝음이 본성으로 숨거나 억압되면 불리하다.


③ 자평진전(子平眞詮)

原文: 丙火屬陽, 性烈質明, 爲太陽之火, 照耀乾坤, 發輝於宇宙, 喜壬水爲配, 相濟成功, 木以資之, 金以煆之

병화(丙火)는 양(陽)에 속하고, 성질이 격렬하며(性烈) 바탕이 밝다(質明). 태양의 불로서 건곤(乾坤·하늘과 땅)을 비추고, 우주에 빛을 발한다. 임수(壬水)를 짝으로 좋아하니(喜壬水爲配), 서로 돕고 조화를 이루어(相濟) 공을 이룬다(成功) — 수화기제(水火旣濟)의 명제. 태양(병화)과 큰 물(임수)이 조화하면 이상적이다.

목(木)으로 자양하고(木以資之) 목생화로 화력 보강한다. 금(金)으로 단련한다(金以煆之) 금을 제련하여 성취·가치 창출한다.

주해

丙火(병화) + 임수 = 水火旣濟(수화기제)로 태양과 강물이 조화하면 만물이 생장하게 만든다. 목생화 → 화련금 — 목은 연료, 금은 제련 대상(성취물)이다. 병화는 광명정대하기에 사사로움 없이 모두를 비추는 공정함·보편성이 있다.


④ 명리정종(命理正宗)

原文: 丙火爲離卦之象, 文明之德, 普照大地, 無私無偏, 能生萬物, 能煆庶金, 畏土之泄, 忌水之克, 然水火相濟則吉

丙火(병화)는 이괘(離卦)의 형상으로 주역 팔괘 중 離(☲)는 불·밝음·문명을 상징한다. 문명의 덕(文明之德)으로 대지를 두루 비추니, 사사로움 없고 치우침 없다(無私無偏). 능히 만물을 생하고(能生萬物), 능히 금속을 단련한다(能煆庶金). 토의 설기(泄氣)를 두려워하고 토가 많으면 화생토(火生土)로 병화 힘이 소진된다. 수의 극(克)을 꺼리는데 수극화(水克火)로 병화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수화가 서로 잘 조제되면(水火相濟) 길하다. 이것은 적정한 수는 오히려 병화를 조화롭게 하기 때문이다.

주해

丙火(병화)는 공정·보편성이 있기에 사사로움 없는 대공무사(大公無私)이다. 그러나 토 과다는 설기가 되어 힘이 빠지고·무기력하게 되며, 수 과다는 극을 받아 손상·소멸되고, 수가 적정하면 오히려 수화기제로 조화·균형을 이루어 길(吉)하다.

丙火(병화) - 양화(陽火)


2, 丙火(병화)의 형상·성질·계절

형상: 태양·번개·용광로·큰 불꽃·화산 — 광대하고 강렬한 화기(火氣)의 상징이다.

갑목이 기둥 되는 나무라면, 병화는 하늘을 밝히는 광원(光源)이다.

성질(기질):

맹렬·광명·정대·외향적 — 강렬하고 직선적이며 숨김이 없다.

공정무사(公正無私) — 모든 것을 차별 없이 비추고 따뜻하게 한다.

변화·생산의 힘 — 금을 제련하고, 만물을 생육시키며, 어둠을 없앤다.

권위·리더십 — 태양처럼 중심에서 모든 것을 이끄는 존재감이 있다.

계절로 볼 때, 여름(巳午未)은 왕성, 특히 午(오)월은 丙火(병화)의 녹지(祿地)로 과열을 주의한다. 봄은 목생화로 화력 증가하여 유리하나 과도하면 화국(火局) 위험이 있다. 가을은 금기 왕성하여서 병화가 금을 제련하는 데 유리(火煆金)하다. 겨울은 한랭·쇠약하기에 목(연료)과 화(동료) 필요하다. 임수(큰 물)와 조화하면 수화기제(水火旣濟)를 이룬다.

핵심 명제: 丙火(병화)는 드러나고 밝혀야 최고의 본성을 발휘한다. 숨거나 억압되면 불리하다. 수화기제(水火旣濟)로 임수(壬水)와 조화하면 최고이다. 화련금(火煆金)하여 경금·신금을 단련하면 가치를 창출하고 성취를 한다. 그러나 과유불급(過猶不及)하여 화(火)가 너무 강하면 오히려 소진·파괴된다.


3. 丙火(병화), 어떤 천간·지지를 만나야 좋은가

① 壬水(임수) — 최고의 조화로 수화기제(水火旣濟)

"喜壬水爲配, 相濟成功" — 태양(병화)과 강·바다(임수)가 만나면 수증기·구름·비를 만들어 만물 생장. 수화기제(水火旣濟)의 완벽한 조화를 이룬다. 병화의 맹렬함을 조절(조후·온도 조절)한다. 서로 대립하되 조화(陰陽調和) → 균형·성취한다. 또한 명예·권위(병화)와 더불어 지혜·유연성(임수)을 갖추니 큰 성공을 한다. 지지에 亥(해), 子(자)가 있어 임수 기운이 있다면 조후 역할을 한다. 그러나 임수가 너무 많으면(水多) 丙火(병화)가 소멸될 위험, 수극화(水克火) 된다. 임수가 적절한 양이면 최고, 과다하면 흉하다.

② 甲木·寅木(갑목·인목) — 최고의 연료

목생화(木生火)로 큰 나무(갑목)는 丙火(병화)의 가장 좋은 땔감이다. 지속적이고 강력한 화력 제공받는다. 따라서 병화의 생명력과 화력이 보강된다. 특히 겨울생 병화는 갑목이 필수이다. 한랭한 환경에서 목이 화를 살린다. 지지에 寅(인)은 목기이자 화의 장생지(長生地)로 병화에게 이상적 뿌리가 된다. 그러나 목이 너무 많으면(木多) 화국(火局)이 형성으로 과열되어 소진(虎馬犬鄕 甲來焚滅)된다. 따라서 목기(木氣)도 적정량이 핵심이다.

③ 庚金(경금) — 단련의 대상·성취의 표상

"能煆庚金(능하경금)"로 丙火(병화)는 경금(강철·큰 금속)을 녹여 명검·기물을 만든다. 火煆金의 작용이다. 병화의 화력이 경금을 제련해 성취·가치·명예 창출한다. 경금은 병화를 극하는 것이 아니라 제련당하여 빛나게 된다. 지지에 申(신)은 경금의 녹지로 병화가 단련하기에 적합하다. 병화가 강(화왕) 하고 경금이 적정하면 성공·명예가 따른다. 그러나 丙火(병화)가 약(화쇠) 한데 경금이 많으면 오히려 병화가 경금을 제련 못하고 눌린다.

④ 午(오) — 병화의 녹지·왕지

午는 丙火(병화)의 祿地(녹지)로 권위·왕성함·안정의 자리이다. 丙火(병화)가 午월(음력 5월)생이거나 지지에 午가 있으면 기본 화력이 강하다. 그러나 午가 많거나 巳午未 화국이면 과열 → 조후(수) 필수이다.

⑤ 巳(사) — 화기 제공·병화의 장생

巳는 화의 기운이 있고, 일부 고전에서 丙火(병화)의 장생지로도 본다. 丙火(병화)에게 화기·안정성을 제공한다.

⑥ 寅午戌 삼합화국

 寅(목)·午(화)·戌(토)이 합하면 火局(화국) 형성되어 화력이 극대화 된다. 丙火(병화)가 약(신약) 한 경우 → 화국으로 기운 보강은 유리하다. 그러나 병화가 강(신강) 한 경우 화국으로 과열, 불리해즌데 이때 수(水) 조후가 필수이다. 화국은 병화의 강약에 따라 길흉이 극명하게 갈린다.

⑦ 적정한 癸水(계수) — 섬세한 조후

계수(이슬물)는 丙火(병화)를 부드럽게 조절하는데 임수보다 온화하다. 과열된 丙火(병화)를 적시고 윤택하게 한다. 과하지 않아 안정적이다.

⑧ 불리한 기운

辛金(신금)은 합화로 병의 본성을 잃게 만든다. "逢辛反怯" — 丙火(병화)는 신금(보석·귀금속)을 만나면 丙辛合水(병신합수)가 발생되어 병화가 수(水)로 化한다. 결국 화성(火性) 상실한다. 이리 되면 丙火(병화)의 맹렬함과 광명이 사라지고 수(유연·음유)로 변화된다. 인물로 보면 타협·굴복·변절, 또는 권위 상실에 해당된다. 결국 병화에게 매우 불리하고 본성을 잃고 약해지는 꼴이다. 酉(유) — 신금의 녹지는 병화에게 불리하다. 천간에 丙과 辛이 함께 있으면 합화 여부·조건 판단 필수이다. 합화 성립 시 병화의 길신(吉神) 역할 소멸되고 흉으로 변한다.

과다한 壬癸水(임계수)는 수극화로 화기를 소멸시킨다. "水猖顯威" / 수극화(水克火) — 물이 너무 많으면 불을 끄게 된다. 병화의 화력·생명력 손상을 가져오는데, 인물로 보면 의지 박약·권위 상실·건강 악화로 이어진다. 특히 겨울생 병화의 경우 수 과다는 극한적으로 불리하다. 亥子丑 중복되면 수기 과다로 병화 소멸로 위험하다. 수가 너무 강하면 병화는 꺼진 불이다.

과다한 戊己土(무기토)는 丙火(병화)를 설기하여 힘을 소진시킨다. "土眾成慈" / 화생토(火生土) — 토가 많으면 병화가 토를 생하느라 기운 소진(泄氣)된다. 병화의 맹렬함·광명이 약해지고 무기력해지는데, 토가 너무 많으면 병화가 묻히거나(晦) 어두워진다. "不宜藏晦"의 경계이다. 지지에 丑未戌가 중복되면 토기 과다로 병화가 설기된다.

과다한 甲乙木·寅卯(갑을목·인묘)은 화국 과열이다. "虎馬犬鄕 甲來焚滅" — 화기가 이미 왕성한데(寅午戌) 목이 또 추가되면 화염이 너무 치열해져 목도 타고 화도 소진된다. 여름생 병화 + 목 과다는 과열·소각으로 번아웃 된다. 지나친 화력은 오히려 파괴적으로 과유불급이다. 지지에 寅卯辰 + 巳午未 중복은 목화기 과잉이다.

子(자)·亥(해) 수기가 지지에 왕성하면 (겨울수왕) 불리하다. 겨울은 수기가 왕성하기에 병화 쇠약해진다. 병화가 子亥월생이면 신약 가능성 높기에 목·화 보강은 필수이다.

申酉(신유) 금기 지지 (병화 입묘·절지)로 申(신)은 丙火(병화)의 병지(病地), 酉(유)는 사지(死地)이다. 화기가 화기가 쇠약해지는 자리로 병화의 화력이 약해진다. 특히 신금(辛)이 천간에 있으면 합화(丙辛合水) 위험하다.

⑨ 천간의 합·충 관계

丙辛合水(병신합수)는 威制之合이라, 병화와 신금이 만나면 합하여 水(수)로 化한다는 고전적 명제이다. 합화 성립이 되면 병화가 수로 변해서 화성(火性·광명·맹렬)이 상실된다. 태양이 어두워지는 형상이다. 천간에 丙과 辛이 함께 있고 합화 조건을 갖추면 병화의 길신 역할은 없어진다. 신약한 丙火(병화)가 병신합을 하면 극도로 불리하다. 신강한 병화가 병신합을 하면 일부 유연성 획득하나 여전히 손실이다.

巳亥衝(사해충)이 되면 巳(화)와 亥(수)의 충으로 병화에게 간접 영향. 화수 갈등이 온다.

寅巳申 삼형(인사신삼형): 형(刑)으로 불안정과 손상이 올 수 있다.

丙火(병화) - 양화(陽火)


4. 용신 지침

"丙火(병화)가 강한가 약한가"를 먼저 보고 판단합니다.

① 丙火(병화)가 강한 경우(여름·화多·신강)이다. 여름(巳午未)생 + 丙丁巳午 많음 + 寅午戌 화국 → 화기 과잉(身强)이 되면 과열·조급·충동·과격한데 조후(냉각)가 필요하다.

水(壬癸) — 조후(調候·온도 조절). 특히 임수(큰 물) 최고 → 수화기제(水火旣濟).

金(庚辛) — 화련금(火煆金)으로 화력 소비·성취 창출. 단, 신금은 주의(합화 위험).

土(적정) — 화생토로 일부 설기·안정화. 과다는 금지.

병화 신강하고 壬水가 있으면 수화기제로 큰 성공·명예·권위가 따른다. 병화 신강하고 + 庚金 → 화련금하여 성취·가치 창출한다.

② 丙火(병화)가 약한 경우(겨울·수多·신약)이다. 겨울(亥子丑)생 + 壬癸亥子 많음 → 화기 쇠약(身弱)하다. 

木(甲乙寅卯) — 목생화로 화력 보강한다. 특히 甲木(큰 연료)이 최고이다.

火(丙丁巳午) — 동료·비견으로 화력 증강한다.

水는 소량만 — 약한 병화에 수 과다는 소멸한다.

金·土는 신중 — 금은 제련 대상이나 약한 병화엔 부담, 토는 설기시킨다.

丙火(병화) 신약하면 甲木·丙火로 화력을 보강하면 성장 가능성이 있다.

丙火(병화) 신약한데 壬癸 과다하면 수극화되어서 흉하다.


5. 사례로 쉽게 丙火(병화) 이해하기

좋은 예 — 길한 조합으로 병화 + 임수 + 갑목 (겨울생, 수화기제)인 경우이다. 丙日주, 겨울생(子월) + 天干에 壬·甲 + 地支에 寅·子·午가 있다. 壬水(큰 물)는 수화기제(水火旣濟)로 조화·균형을 가져 온다. 甲木(큰 나무)은 목생화로 한랭한 겨울에 화력을 보강한다. 地支 寅(목기·화의 장생) + 午(화기·병화의 녹지)는 뿌리가 안정된다. 子(수기)는 적정량의 수로 조후가 된다. 

병화 + 경금 + 적정 목수 (여름생, 화련금) 일 때도 유리하다. 丙日주, 여름생(午월) + 庚金 있음 + 甲木·癸水 소량인 경우이다. 여름(午월) — 병화 왕성(신강)하다. 庚金은 화련금(火煆金) 작용으로 병화가 경금을 제련하여 명검·가치 창출한다. 甲木 소량은 화력 보조이다. 癸水 소량은 조후(과열 방지)로 좋다.

병화 + 인오술 화국 (신약한 병화, 보강)의 경우도 좋다. 丙日주, 가을생(申월·신약) + 地支에 寅午戌 화국이 있을 때이다. 가을생은 병화 본래 약하다. 이때 寅午戌 화국으로 화력 극대화로 신약을 보강한다. 화국이 병화의 약점을 보완하면서 길격이 된다.

흉한 예 — 불리한 조합으로 병화 + 신금 합화 + 수 과다 (겨울생)인 경우이다. 丙日주, 겨울생(子月) + 天干에 辛·壬癸 많은데 地支에 또 亥子丑이 중복되었다. 겨울(수왕)에 병화는 본래 쇠약하다. 辛金으로 丙辛合水 되면서 병화가 수로 化해서 화성을 상실했다. 壬癸 과다는 수극화 되어 병화가 소멸되고, 木火 부족으로 보강도 전혀 없다.

丙火(병화) + 토 과다 (여름생, 설기)는 불리하다. 丙日주, 여름생(未월) + 戊己土 많음 + 地支에 辰戌丑未 중복되었다. 여름은 병화가 본래 왕성하다. 그런데 戊己 과다되어 화생토(火生土)로 설기가 되면서 병화 힘이 소진되었다. 토 지지 중복으로 병화가 토를 생하느라 힘이 빠졌다. 水木 부족하고 조후·보강도 없다.

丙火(병화) + 목화 과다 (여름생, 화국 과열)도 좋지 않다. 丙日주, 여름생(午月) + 甲乙丙丁 많음 + 地支에 寅午戌 화국이다. 여름에 화국, 병화가 극도로 왕성(과열)하다. 甲乙木이 과다하여 "虎馬犬鄕 甲來焚滅"되어 목생화로 화력이 극대되면서 소진·소각되었다. 수(水) 전혀 없어 조후도 불가하다.

丙火(병화) - 양화(陽火)


6. 丙火(병화)의 핵심 명제

같은 병화라도 시간(계절)·주변(간지)·개별성(강약)에 기초하여 종합 판단한다.

여름생 → 극왕(신강) → 수(조후·기제)·금(화련) 필요.

겨울생 → 쇠약(신약) → 목(연료)·화(동료) 필요.

봄·가을생 → 중간 강도 → 상황별 조절.

丙火(병화) 의 핵심 명제는 바로 이것이다.

"水火旣濟" — 임수와 조화하면 최고의 길격이다.

"能煆庚金, 逢辛反怯" — 경금 제련은 성취, 신금 합화는 본성을 상실하게 만든다.

"不宜藏晦" — 드러나고 밝아야 하며, 토에 묻히거나 수에 꺼지면 불리하다.

"虎馬犬鄕 甲來焚滅" — 화국에서 목 과다는 과열·소진이다.


사주갤러리 - SajuGallery.com


AD

이 그림은 어떤 운명일까요?

이미지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