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미(丁未) - 여름 석양에 메마른 언덕 / 붉은 양

 정미(丁未)는 천간 정화(丁火)에 지지 미토(未土)로 구성된 일주로 뜨겁다. 정미(丁未)는 뜨거운 벌판, 붉은 양, 메마르고 따뜻한 언덕, 밭, 풀을 뜯고 있는 양의 형상입니다. 정미는 섬세하고 마른 여름 흙이며 양(羊), 섬세하고 온화하지만 내부에 열기를 품은 모습입니다.


정미(丁未) - 여름 석양에 메마른 언덕 / 붉은 양

정미(丁未) 일주는 "산 위의 붉은 양"과 "불 속의 등잔"이에요. 높은 산 위에서 평화롭게 풀을 뜯는 양의 모습, 어둠 속에서 따뜻한 빛을 내는 등잔과도 같다. 미토는 한여름의 뜨겁고 마른 땅이다. 물상적으로 사막의 땅, 가마속의 도자기에. 비유되기도 한다. ​미토는 동물로는 양에 해당되는데, 여기서는 정(丁) 오행상 붉은 기운이니 붉은 양이라고 본다.

정미(丁未) - 뜨거운 저녁 석양 / 붉은 양

정화 (丁火)는 작은 불, 작은 불, 촛불, 등불, 별, 영적인 빛. 은은하고 지속적인 빛, 내면의 열정, 섬세함을 뜻하고, 은은하게 타오르는 촛불, 밤하늘의 별, 따뜻한 등잔의 형상입니다. 그래서 정미는 따뜻하고 예민하며, 내적인 열정과 예술적 감수성을 지닌 모습입니다. 외유내강(外柔内剛)의 기운이 있습니다.

정미(丁未) 일주 식신에서 미토의 지장간에 정을기(丁乙己)가 있다. 정화(丁火) 입장에서 정화는 비견, 을목은 편인, 기토는 식신이다. 일지 지장간 식신과 정인으로 머리가 똘똘하여 학문적으도 빛을 볼 수 있다.


① 정미(丁未) 물상론

'정(丁)'은 음화(陰火)로 촛불, 등불을 의미하고, '미(未)'는 음토(陰土)로 여름의 더운 땅, 마른 흙을 뜻합니다. 정미(丁未)는 저녁 석양, 따뜻한 땅의 등불, 양떼와 등불, 여름 저녁의 온기의 형상입니다.

미토(未土)는 정화(丁火)를 설기시키는 화생토의 구조로, 불이 흙에게 온기를 주고 흙은 불을 품는 모습입니다. 미토는 목고(木庫)이자 화토의 성질이 있습니다.

물상으로는 석양, 저녁 등불, 따뜻한 땅, 양떼가 쉬는 석양로 해석되며, 온화하고 성숙한 기운입니다.

정미(丁未) - 뜨거운 저녁 석양 / 붉은 양


② 핵심 키워드

온화한 성숙, 배려와 희생, 봉사정신, 성실함, 안정 추구, 소박함


③ 정미(丁未) 일주의 특징

성정(性情): 온화하고 성실하며 배려심이 깊음. 희생정신이 강함

재능: 꾸준하고 성실함. 사람을 돌보고 보살피는 능력

대인관계: 친절하고 온화하나, 자신의 어려움을 잘 표현하지 못함

직업: 사회복지, 의료, 간호, 요식업, 농업, 교육 등에 적합

건강: 심장, 비장, 위장 계통 주의. 과로로 인한 소모 유의

정미(丁未) - 뜨거운 저녁 석양 / 붉은 양

특이사항: 미토는 정화의 식신(食神)이자 관고(冠庫)로 재능이 있으나 드러내지 않습니다. 봉사와 희생을 통해 인정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미(丁未) 일주는 천간과 지지 모두 뜨거운 화기의 기운으로 조열한데 대운에서 또 지나친 화(火) 기운을 만나면 자칫 화병이나 과도한 스트레스로 인한 정신적 고통을 겪을 수 있습니다. 열 받으면 스스로 맛이 갈 수 있으니 마음을 다스리기 바랍니다.


④ 정미(丁未) 일주 그림

정미(丁未) 일주를 그림으로 그린다면 여름날 노을이 깔리는 저녁 무렵에 뜨거운 들판이나 정원에서 붉은 양이 풀을 뜯고 있는 형상입니다.

정미(丁未) - 뜨거운 저녁 석양 / 붉은 양


⑤ 餘暉映土 (여휘영토)

丁(火陰) + 未(土陰, 목(木)의 묘지)이다. 정미(丁未)는 온화한 음화(丁火)가 따뜻한 음토(未土)를 만나 화생토(火生土)의 부드러운 상생을 이룬다. 未土는 늦여름의 토로 따뜻하고 비옥하며, 丁火의 은은한 온기를 받아 더욱 풍요로워진다. 마치 저녁 노을이 대지를 물들이는 형상으로, 화려하지 않으나 따뜻하고 평화롭다. 온화한 완성, 저녁의 평화, 성숙한 결실. 화려한 전성기는 지났으나 깊은 내공과 풍요로움을 지니며, 따뜻하고 포근한 분위기를 만든다. 餘暉映土" (여휘영토)는 "저녁노을이 땅을 비춘다"는 뜻입니다.

사주갤러리 - SajuGallery.com

AD

이 그림은 어떤 운명일까요?

이미지 불러오는 중...